[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8일, 내년도 소부장R&D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범부처적으로 올해보다 23%늘어난 2조 5천억원을 집중투자한다고 28일 밝혔다.
올해 소부장 경쟁력 강화에 집중투자하는 ‘소부장특별회계’가 처음으로 신설돼 2조745억 원이 투입됐다. 내년에는 글로벌 공급망재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소부장 2.0 전략’에 따라 2조5541억 원으로 확대 투자하기로 했다.
투자하는 분야를 구체적으로 보면 ▲R&D 1조7339억 ▲실증테스트베드 등 기반구축 4368억 ▲금융지원 등 3814억 원 등이다.
특히, 산업부는 ’21년 소부장 R&D에 금년보다 약 2,500억원 늘어난 1조 3,027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6대 업종분야와 신산업을 대상으로 생산 필수성 등을 감안하여 밸류체인을 분석하고,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8,866억원, 47%↑),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사업(1,332억원, 32.5%↑)을 중심으로 R&D 집중투자 된다.
소재부품장비 관련 핵심전략품목 146개 기술개발에 6천500억 규모를 투입 하고, 특히, 이중 약 3,000억원 규모는 신규품목 60개 R&D에 투자 한다.
범부처 차원의 소부장 R&D에는「소부장 2.0전략」에 제시된 158+∝개 핵심 품목을 중심으로 전체의 68%인 1조 7천억원을 집중투자할 예정이다. 이중 부처별로는 ▲산업부 1조3027억 ▲과기부 2359억 ▲중기부 1953억 원이다.
협력모델 확장 및 해외 밸류체인 진입을 위해 , 공급망 강화 등을 위해 수요-공급 기업 협력모델을 해외 수요기업(연구기관) 등 글로벌 차원 확장 되며, 해외 수요기업(또는 연구기관)까지 “글로벌 차원의 개방형 협력모델“로 확장하고, 국내외 협력모델 20개 이상에 총 350억원 투입된다.
저(低)탄소, 친환경 추세 등 기존 소재부품산업이 미래형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핵심소재 부품 R&D 추진한다. 미래산업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여 신소재 부품 등 핵심소재부품 R&D를 통해, 기존 소부장기업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사업구조 전환도 유도할 계획이다.
한편 산업부는 “日수출규제와 코로나19에 따른 불확실성과 공급망(GVC) 재편 그리고 저탄소사회로 전환에 대응하는 핵심이 소부장산업 경쟁력 강화에 있는 만큼, 「소부장 2.0전략」을 중심으로 관련 정책을 일관되고 강력하게 추진”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