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테크 뉴스] 현대자동차그룹이 해외 첫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생산 기지를 중국에 세울 계획이다.
5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산업기술보호위원회를 열어 현대차그룹의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기술 수출 승인을 결정했다.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현대차그룹의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기술 수출 승인을 결정했다. 현대차는 중국 현지 공장 신설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은 국가 핵심기술이어서 해외 공장 설립시 정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부는 이 수출로 인한 기술유출 가능성이 낮고, 현지 생산공장 건설이 중국 내 수소전기차 시장을 확대시키는 등 긍정적 효과가 많다고 판단해 수출을 승인했다.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 별도 브랜드 에이치투(HTWO)를 론칭하는 등 수소연료전지사업을 미래 사업 3대 축 중 하나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2030년 70만기 수소연료전지 판매 목표도 세웠다.
현대차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 적용 대형 수소전기트럭 양산라인을 국내에 구축하고 스위스로 초도 수출물량을 실어 보내기도 했다. 국토 면적과 물류량 면에서 중국은 유럽, 미국과 함께 현대차의 큰 잠재시장이다.
또한 정부는 또 경제적 영향 면에서 현대차그룹이 중국에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생산 기지를 구축하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봤다.
중국은 과거 수소차 보조금을 전기차 보조금과 마찬가지로 일반 소비자에게 지급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핵심 지방자치단체에 일정한 보조금을 나눠주고,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차량 보조금 지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 등에 나서도록 할 예정이다.
결국 중국 수소차 시장을 선점하려면 지자체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정부도 현대차그룹의 현지 공장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인철 현대차 상용사업본부장 부사장은 당시 “중국은 잠재력이 가장 큰 시장 중 하나”라며 “중국 시장에 차량 판매뿐만 아니라, 수소차 리스, 충전소 운영 등 수소 생태계 전반에 걸친 비즈니스 클러스터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에 수소연료전지공장을 지을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은 수소차 외에도 수소연료전지발전 등에 널리 사용돼 중국 내 수요 증대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