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에도 국내 수출 회복을 이끌었던 반도체가 올해에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수출 반등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연간 수출액은 992억달러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이는 1267억달러의 수출 실적을 낸 2018년 다음으로 역대 2위 실적이다.
반도체 수출은 6개월 연속 '플러스'(+), 4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율로 국내 총수출 성장기여도 1.0%포인트(p)를 달성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 경기침체가 이어졌지만, 비대면 경제 전환에 따른 서버·노트북 분야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올해도 반도체 수출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산업부는 2021년 세계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약 8~10% 증가하는 가운데, 메모리반도체 시장은 약 13~20% 대폭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은 전년 대비 10.2% 증가한 1075~1110억달러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별다른 변수가 없다면 지난해 달성한 역대 2위 수출 실적 기록을 1년 만에 갱신했다.
무역협회와 산업은행 등 국내 기관들이 내놓은 2021년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 전망은 최대 1천110억 달러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1천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관측됐다.
분야별로는 메모리반도체는 가격상승이 예상되는 D램 중심으로 수출이 대폭 증가해 12.0% 증가한 703~729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시스템반도체는 5G 통신칩, 이미지센서 등 수요 증가 및 파운드리 대형고객 확보로 7.0% 증가한 318~330억달러로 예상됐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지난해 코로나19 및 화웨이 제재 등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산업이 수출회복세를 주도하면서 우리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담당했다”고 하면서 “올해도 반도체가 수출 플러스 전환을 견인하고, 한국형 뉴딜의 성공적 추진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