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정부 방역정책에 따라 작년 12월 23일부터 실시한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 후 인구 이동량이 감소했다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나왔다.
KT는 자사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지역구별 유동인구 변동 추이, 소셜버즈량 등을 통해 작년 코로나19 유행 시기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결과를 얻었다고 7일 밝혔다.
코로나19 국내 발생 이후 시사점을 발굴하기 위해 디지털&바이오헬스P-TF가 실시한 분석은 KT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지역구별 유동인구 변동 추이, 뉴스와 SNS 등의 ‘소셜 버즈량’과 확진자수 증감 비교로 진행됐다.
5인 이상 집합금지가 시행되기 4일 전부터 서울시 인구 이동량이 증가 추세로 전환되기 시작했으나, 집합금지가 발효되고 성탄절 연휴가 시작되면서 이동량이 급격한 감소세로 꺾였으며 이후 확진자 수도 감소하기 시작했다. 연말 유동인구가 늘어나는 시점에 맞춰 적기에 대응해 확진자 증가세가 둔화되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3차 대유행 시기였던 2020년 1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를 분석한 결과 1, 2차 유행 때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지난해 3월 1차 유행, 8월의 2차 유행 때는 확진자 증가에 따른 이동인구의 감소가 즉각적으로 나타났지만, 3차 유행 때는 이동인구의 감소 현상이 다소 천천히 나타났다.
같은 기간 트위터, 커뮤니티 등에서 코로나에 대한 언급량 추이는 1, 2차 유행보다 확진자 수가 크게 늘어난 3차 대유행에서 오히려 감소했다. 장기간 진행된 방역 조치에 따라 시민들의 피로도가 커지고 코로나19에 대한 학습효과가 생긴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른 지역구로부터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구는 확진자 비율도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구 인구의 유입이 가장 많은 중구와 종로구는 확진자비율이 각각 0.18%, 0.21%를 기록했다. 다만 강서구, 중랑구는 유입인구 비율은 낮았지만 지역에서 발생한 집단감염으로 인해 확진자 비율이 높았다.
3차 유행 때의 확진자 증가와 인구 이동량을 자세히 살펴보면 5인 이상 집합 금지 이후에도 확진자가 늘어난 자치구는 그렇지 않은 구에 비해 유입인구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김형욱 KT 미래가치추진실장(부사장)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확진자 증감 추이와 방역 정책에 따른 유동인구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시민들의 피로와 불만, 그리고 경제 활성화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세밀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인 만큼, 국민의 안전과 방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익한 빅데이터를 계속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