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수출 총력 지원을 통해 무역 1조 달러를 회복하고, 수출 4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산업부는 오늘(17일) 2021년 업무보고를 통해 “실물경제 활력 회복과 제조업 혁신으로 빠른 경제 회복을 견인하겠다”면서 수출과 한국판 뉴딜, 첨단산업, 탄소중립, 통상전략 등의 분야에 대한 핵심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산업부는 올해 ▲ 수출 플러스 전환 ▲ 한국판 뉴딜 선도 ▲ 첨단산업 강국 도약 ▲ 탄소중립 에너지 혁신 ▲ 글로벌 연대·협력 등 5개 과제의 20개 주요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소상공인·뿌리기업 등 신규 수출기업 1만개 양성을 목표로 수출 첫걸음 패키지 도입(500개사), 수출 통합지원 플랫폼 '무역투자 24' 구축(하반기) 등에도 나선다.
품목은 K-방역·서비스·뉴딜 등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활용해 소비재·서비스 수출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K-뷰티·푸드를 판매하는 현지 유통망을 2배로 늘리고 웹툰·K-방역 등 유망분야는 마케팅을 집중 지원한다. 뉴딜시장 선점을 위한 ‘K-뉴딜 글로벌화’ 전략을 추진, 정부 간(G2G) 수출계약으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한다.

그린뉴딜 분야에서는 새만금 태양광, 신안 해상풍력 등 대형 프로젝트를 연내 착공해 민간 투자를 끌어내고 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새만금, 고흥 해창만 등에 육·수상 태양광 발전단지를 건설하고 전북·전남·제주 등에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
또 올해 666억원을 투입해 전국 단위 수소생산기지 10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기 급속충전기를 올해 1만2천기(누적)로 늘리고 수소충전소도 확대한다. 전기차 충전기는 100세대 이상 아파트와 대형마트에 의무설치 비율을 확대한다.
'지역활력 2.0' 전략을 통해 5대 권역별 신산업도 육성한다. 동남권은 친환경선박·수소, 대구·경북권은 로봇·미래차, 호남권은 인공지능(AI)가전·전기차를 주력산업으로 각각 키운다.
4대 제조 강국이자 첨단산업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친환경·디지털 산업 혁신을 추진한다.
주력산업별로 CNC 국산화 기술 개발(기계), 친환경선박 1조원 R&D(조선), 도심 전자산업 부활센터 구축(가전), 군 전투복 소재 국내조달(섬유), 프리미엄 철강소재 육성(철강) 등에 나선다.
국내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인 용인 클러스터를 연내 착공하는 등 K-반도체 벨트 구축도 본격화한다.
이차전지는 전기차 구매 가격을 낮추는 전기차 배터리 대여 시범사업을 이른 시일 안에 착수하고 로봇은 지역별 실증사업을 추진해 로봇 시대를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은 5개 특화단지를 지정·운영하고 으뜸기업 100개를 육성해 공급 안정화와 세계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이외에 사업재편 과제 신규 100건을 발굴하고 역대 최대 규모인 규제특례 100건을 발굴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와 수소를 양대 축으로 하는 에너지 혁신을 추진한다.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확대하고 공존형 해상풍력 사업에 착수한다. 또한 수소생산기지 10기 신규 구축, 튜브 트레일러 16대 저가 임대 등을 통해 수소 생태계를 키울 계획이다.
리튬·코발트 등 핵심 광물을 관리하고 정부 비축(평균 100일)을 확대하는 등 `그린 공급망` 구축 작업도 진행한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산업부는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는 산업강국 실현을 목표로 빠른 회복, 힘찬 도약, 강한 연대의 정책 방향 아래 주요 업무를 추진해나갈 계획”이라며 “5대 정책 과제에 차질 없는 추진을 통해 실물 경제와 제조업이 주도하는 빠른 경제 회복과 산업 혁신을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