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2030년까지 신차판매 83% 확대...785만대 보급

2021.02.23 13:18:49

정부, ‘제4차 친환경차 기본계획’ 확정
2030년 자동차 온실가스 24% 감축
1000개 부품기업 미래차 기업 전환

 

[더테크 뉴스]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친환경차 785만대를 보급해 자동차 온실가스를 24% 감축한다. 이를 위해 부품기업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궁극적으로 내연기관차 수준의 성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2025년까지의 친환경차 개발 및 보급 전략을 법정계획으로 확정해 범정부적인 이행력을 확보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혁신 전략 △차량 전주기 친환경성 평가 등 실질적인 탄소중립 기반을 확보한다. 

 

이는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기본계획이다.

지난해부터 산·학·연 전문가 포럼과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쳤으며 지난 18일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도 그 내용이 공개된 바 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정부는 2030년 자동차 온실가스 24% 감축을 목표로 2025년까지 친환경차 283만대, 2030년까지 785만대 보급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공공기관은 친환경차를 100% 의무 구매해야 한다.

 

 


렌터카·대기업 등 민간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는 친환경차 구매 목표제도 도입된다. 또한 택시·트럭·버스 등 영업용 차량에 대한 보조금·인센티브는 확대된다.

 

하이브리드차는 전 주기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활용 폭이 넓어진다. 

국가 연구개발(R&D)을 통해 2025년까지 하이브리드 차의 연비를 10% 개선하고, 2030년에는 전기차와 유사한 수준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하이브리드 차를 개발하기로 했다.
 

수소차의 경우 전국 어디서든 30분 이내에 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게 2025년까지 450기를 구축한다.

 

 

충전 인프라도 확대한다. 2025년 전기차 보급 대수의 50% 이상 수준인 50만기 이상으로 충전기를 늘리고, 20분 충전으로 300㎞ 주행 가능한 초고속 충전기 보급을 본격화한다. 수소차의 경우 전국 어디서든 30분 이내에 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게 2025년까지 450기를 구축한다.

 

또한 친환경차의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용 플랫폼 구축, 부품소재 국산화 등으로 2025년까지 차량 가격을 1000만원 이상 내린다. 특히 배터리 리스(대여) 사업을 도입해 초기 구매가격을 절반 수준으로 낮출 방침이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자동차 온실가스 기준에 전 주기에 걸쳐 온실가스 평가를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친환경차 수출은 지난해 28만대에서 2025년까지 83만대로 확대한다. 수출 비중도 14.6%에서 34.6%로 끌어올린다.

 

내연기관차 이상의 주행거리(2025년 600㎞ 이상)를 확보하도록 전고체전지를 2030년까지 상용화하고, 2025년까지 수소 상용차를 전 차급 출시하는 등 기술 혁신에 나선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기차는 휴대폰처럼 상시 생활충전이 가능해지고 1회 충전으로 전국 어디든지 안심하고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수소차는 교통 물류 거점을 중심으로 충전소를 대폭 확충하고 내구성은 2배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홍주희 hongjuhee@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EC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