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테크 뉴스] 환경부는 26일 산업계와 환경정책 간담회를 개최하고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지원 및 제도개선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정애 환경부 장관을 비롯해 최시영 삼성전자 사장, 김학동 포스코 철강 부문 사장,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등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참여하는 업종별 주요 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한정애 장관과 기업 대표들은 정부와 기업의 탄소중립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기업이 탄소중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원 및 제도개선, 애로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한정애 장관은 인사말에서 "최근 전세계에서 한파, 산불, 홍수 등 기후변화가 원인인 재난이 발생하는 등 기후 위기가 현실이 되고 있다"며 "탄소국경세,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등 환경과 산업이 연계돼 기후변화 대응이 늦어지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니 기후변화 대응은 우리가 반드시 가야 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금한승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이 '탄소중립 시나리오 수립 및 추진전략'을 주제로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 내 논의내용과 일정을 소개했다.
환경부는 올해 상반기 내 산업계 의견수렴, 국민대토론회 등을 거쳐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상향조정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에너지 효율 개선과 수소환원제철 도입을 통해 현재 약 7900만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서,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화에너지는 산업공정에 열을 공급하는 집단에너지 사업자가 친환경에너지로 전환하는 경우 분산형 전원의 편익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대한항공은 바이오 항공유의 생산‧보급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주문했다.
한국시멘트협회는 자체적으로 탄소중립위원회를 설치하고 현재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을 바이오매스(생물 유기체로 만든 자원) 폐기물로 대체하고 폐열발전을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2050년까지 16조3000억원을 투자해 폐플라스틱 등에서 청정유를 생산하고, 청정유에서 수소를 추출해 활용하는 폐기물 수소화사업(W2H, Waste to Hydrogen)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탄소중립에 대해 활발한 토론이 진행돼 환경부와 산업계의 관계를 한층 더 밀착시키는 계기가 됐고, 앞으로도 다각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함께 하기로 다짐했다.
한 장관은 “2050 탄소중립은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달성할 수 있는 과제”라면서, “어려운 상황에서도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탄소중립 방안을 고민한 점에 감사드리며, 기업대표들의 각별한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