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플랫폼, 비대면·디지털 사회 앞당긴다..."국내 출원 7년간 6배 증가"

2021.03.01 12:38:16

 

[더테크 뉴스] 최근 카카오, 애플, 구글, 아마존 등 IT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등 IoT 기반 응용서비스 시장에 앞다투어 진출하면서, 주변의 사물을 연결하는 IoT 플랫폼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IoT 플랫폼은 초기 연구단계를 지나 급성장하고 있는데, 대규모 산업 데이터를 확보하기에 유리하고 시장의 선점효과가 커서 한번 주도권을 잡으면 관련 산업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한 IT 기업들의 진출에 대항해 기존 기업들 또한 경쟁적으로 IoT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어, 치열한 다툼이 예상된다.

1일 특허청에 따르면, IoT 플랫폼 관련 국내 출원 또한 2013년 20건에서 2020년에 115건으로 최근 7년간 6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IoT 플랫폼을 세부 유형별로 구분해 보면, ①서비스 이용과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통합관리 플랫폼은 213건, ②컴퓨터 서버나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는 플랫폼은 183건, ③장치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플랫폼은 50건, ④엣지 장치를 관리하는 플랫폼은 12건 순으로, 서비스의 제공‧개발을 지원하는 분야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IoT 플랫폼을 활용하는 서비스 기준으로는, 헬스케어 34건, 방재/방역 31건, 에너지 28건, 수송/교통 26건, 스마트홈 22건 순서로, 특정 분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서비스에 응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원인별로 보면, 기업이 286건, 대학 산학협력단 64건, 연구기관 47건, 개인 61건 을 합친 것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미 IoT 플랫폼 기술이 본격적인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물 간 통신 방식을 보면 와이파이(38건), 블루투스(35건), LoRaWAN(22건), 지그비(19건), 이더넷(18건), 4G·5G 이동통신(14건) 등의 순이었다. IoT 플랫폼 기반 서비스에 와이파이 활용 비중이 높았지만, 배터리 소모가 적은 지그비,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방식도 많이 쓰이고 있었다.
 

한편 블록체인을 결합돼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키는 기술과 같이 인공지능, 빅데이터, 가상현실 등 첨단 기술과 융합된 형태의 출원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다.

특허청 사물인터넷심사과 박성호 서기관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IoT 플랫폼 시장을 놓고 이미 치열한 경쟁이 시작되었으므로, 우리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강한 특허를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주희 hongjuhee@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EC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