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테크 뉴스] 전자・전기・전지 업계는 2050년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산‧학‧연‧관 협의체인 “전기전자 탄소중립 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2050 전자・전기・전지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산·학·연·관 협의체인 '전기전자 탄소중립 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삼성전자,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LS전선, 인텍전기전자,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전자·전기·전지업계 대표 기업 8개는 '2050 전자·전기·전지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전기전자 산업은 연간 9.7백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다양한 제품·부품 제조과정에서 전력사용에 따른 간접배출과 제품에 직접 포함되는 공정배출로 이루어지나, 온실가스 배출은 가전 냉매(HFCs)와 전기 개폐장치(SF6), 이차전지 절연가스(SF6)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를 줄이기 위한 단기 과제로는 에너지 공정 효율 개선, 육불화황(SF6) 저감 기술, 사용후 배터리 재자원화 등을 제시했다. 또한 중장기 과제로는 절연 매질 전환, 차세대 전지 기술, 탄소 포집·전환 기술 등을 꼽았다.
전자진흥회 진홍 부회장은 “탄소중립은 4차 산업혁명에 이어 또 한번의 패러다임 대전환에 따른 전자산업의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라고 말했다.
전기진흥회 신순식 부회장은 “탄소중립은 정체되고 있는 전기기기 산업에 새로운 활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하며, 오랫동안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지적되어온 SF6 가스를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는데, 민관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지협회 정순남 부회장은 “ESS와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이차전지는 탄소중립을 이끄는 핵심 산업”임을 강조하면서, 이차전지 성능개선·안전성 확보와 함께 전지 생산·재활용·폐기 등 全과정의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업계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시설투자를 위한 세액공제 확대, △온실가스 감축 인증범위 확대, △고효율 기술개발 및 설비지원, △친환경 열원화(수소 등) 기술 등 연구개발 지원을 요청했다.
산업부 강경성 실장은 “민간의 탄소중립 전환을 지원하기 ‘탄소중립 5대 핵심과제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하며, 건의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여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가고, 대체연료 기술, 공정효율 개선, 제품의 고효율화 등 혁신기술 연구개발에도 집중 투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대규모 R&D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세제·금융지원·규제개선 과제 발굴을 통해 탄소 중립 공정을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