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정부가 2034년까지 신규 송전선로 구축과 변전소 신설 등 재생에너지 전력 시스템 강화(계통 구축)에 12조 3천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박기영 에너지차관 주재로 23일 김제 변전소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력계통 현장 간담회를 열고 "제9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이 최근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면서 "이를 포함한 전력망 설비 투자가 차질없이 집행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금년초부터 운영되어 온 ‘재생에너지 계통접속 특별점검단’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대폭적인 증가가 예상되는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계통에 원활히 연계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박기영 차관은 "김제 변전소 154kV 변압기 시설을 둘러보고 김제 지역에 현재 접속대기중인 재생에너지 설비가 빠른 시일내에 계통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선로보강 등 조치할 것"을 당부했다.
현재 김제변전소에는 재생에너지 63MW가 접속 대기 중이다. 산업부는 선로 용량 확대, 보강, 추가 변압기 설치 등으로 54MW가 내년 말까지 전력계통에 연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접속대기중인 재생에너지 설비 3.0GW 중 2022년까지 2.2GW 규모의 설비가 계통에 연계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접속대기 물량이 완전 해소될 수 있도록 한전의 지속적인 시설 개선 및 보강을 당부했다.
박 차관은 또한 현재 한전에서 각 변전소에서 운영중인 376MW 규모의 ESS 설비가 계통 안정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현재 예산당국과 협의 절차가 진행중인 ’23년까지 1.4GW 규모의 ESS 설비 추가 계획도 산업부와 한전이 차질없이 준비하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한국전력, 전력거래소, 한국에너지공단과 전문가, 업계, 학계 전문가를 포함하여 이번 달부터 “전력계통 안정화 TF”을 운영하여 지속적인 의견을 수렴하여 금년 말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력계통 혁신 방안'을 마련하여 발표할 계획이다.
박기영 차관은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재생에너지가 전력 생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전력계통 구축이 앞장서서 선제적인 예측 투자를 주도하는 패러다임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