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유해 화학물질 유출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자 친환경적 기술 개발에 나섰다.
KIST는 물자원순환연구단 최재우 박사팀이 금속을 흡착한 후 결정화하는 방식으로 수중의 금속이온을 회수하고, 회수된 금속 결정은 스스로 탈착돼 자가 재생이 가능한 섬유형 금속 회수 소재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KIST 연구팀은 섬유 형태의 소재 표면에 특정 화학기능기를 고정하면 수중 금속 이온이 결정화되는 현상을 활용해, 형성된 결정을 떼어내는 기술을 도입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흡착 소재를 개발했다.
이를 구리 이온으로 실험했을 때 기존 흡착제의 최대 흡착량은 1060mg에 불과했지만 개발된 소재를 사용하면 무한대에 가까운 흡착 성능을 낼 수 있다.
또 기존 고기능성 흡착제는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로 지름의 작은 알갱이 형태인 반면 개발된 금속 회수 소재는 섬유 형태를 가져 수중 제어가 쉽고 금속 회수 공정에 적용이 용이하다.
최재우 박사는 “개발 소재는 아크릴 섬유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습식 방사 공정을 통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며 “폐수 재활용 기술을 통해 산업계의 수요가 높은 유가금속의 해외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