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 연구진이 생성형 인공지능 (AI)를 활용해 화학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는 금속 유기 골격체의 특성을 예측해고 새로운 재료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챗봇 시스템을 개발했다.
카이스트는 26일 김지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AI 모델을 활용해 금속 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의 특성을 예측하고 새로운 재료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챗봇(ChatMOF)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최근 AI가 발전했지만 재료 과학에서 그 잠재력을 활용하기에는 여전히 물질의 복잡성과 재료별 데이터의 부족이라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김지한 교수팀이 개발한 챗MOF는 재료 분야에서 전통적인 머신러닝 모델과 거대언어모델(LLM)을 결합한 접근 방식으로 계산 및 머신러닝 도구에 대한 초심자들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
챗MOF는 인공지능의 능력과 재료 과학의 복잡성을 융합했다. 이 시스템은 검색 및 예측 작업에서 각각 96.9%, 95.7%의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구조를 역설계하는 작업에서도 87.5%의 정확도를 달성했다.
김지한 교수는 “챗MOF는 재료 과학 분야에서 AI의 자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을 나타낸다”며 “성능 최적화를 통해 금속 유기 골격체 연구 분야에서 놀라운 진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 6월 3일 개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