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오는 26일부터 29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4(Mobile World Congress 2024)에 참가해 자사 기술을 전시하거나 참관단을 파견하는 등 모바일 솔루션 탐색에 나선다. KT는 ‘미래를 만드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 KT’를 주제로 △NEXT 5G △AI LIFE의 총 2개 테마존을 구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AI 혁신 기술 등을 소개할 계획이다. NEXT 5G 존에서는 항공망에 특화된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UAM 체험 공간과 AI로 안전하게 UAM 교통을 관리하는 지능형 교통관리 시스템이 소개된다. 또 사용자에게 편리성, 보안성을 더해주는 혁신 네트워크 서비스·기술도 전시된다. KT는 사용자가 쉽게 글로벌 사업자망에 접속해 연결성 등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는 ‘개방형 네트워크 API’ 기술과 클라우드 HPC(고성능컴퓨팅) 환경에서 해석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제공한 ‘엔지니어링 플랫폼’을 선보인다. 또한 유·무선 네트워크의 해킹 방지 기술인 ‘양자암호 통신’, 통신 인프라의 전력을 절감한 ‘네트워크 전력 절감 기술’ 등도 공개할 계획이다. AI LIF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곤충의 시신경계를 모방해 초고속·저전력 동작이 가능한 신개념 ‘지능형 센서’ 소자를 개발했다. 교통, 안전, 보안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돼 산업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카이스트는 19일 김경민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멤리스터 소자를 융합해 곤충의 시신경에서의 시각 지능을 모사하는 지능형 동작인식 소자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지능형 동작인식 소자는 곤충의 시신경계를 참고했다. 초파리 같은 곤충은 비교적 작고 간단한 뇌와 시신경계를 지녔는데 다양한 환경에서 민첩하게 움직이고 생존할 수 있도록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이는 기본 동작 감지기 (Elementary Motion Detector, EMD) 라는 특수한 신경 회로 덕분이다. 김경민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곤충은 매우 간단한 시각 지능을 활용해 놀랍도록 민첩하게 물체의 동작을 인지한다”며 “이번 연구는 멤리스터 소자를 활용해 이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근 AI가 탑재된 휴대폰 같이 에지(edge)형 인공지능 소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동작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카오브레인이 19일 흉부 엑스레이 판독문에서 특정 병명을 추출하는 의료영상 판독문 전문 레이블러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레이블러 프로젝트는 글머리 기호 형식 등 정리되지 않은 자연어로 작성된 판독문에서 특정 병명을 추출하는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흉부 엑스레이 결과를 바탕으로 진단 가능한 병명 중 발병 빈도 또는 중요도가 높은 △골절 △흉막 병변 △기흉 등 총 13가지 병명 추출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연어로 작성된 판독문을 입력하면 이를 분석해 13개 병명에 대한 양성·음성 여부를 알려준다. 카카오브레인은 기존 의료 진단 업무 개선에 기여하고자 기존에 공개된 타사 모델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특정 병명을 추출하는 레이블러 프로젝트 연구에 착수했다. 이 프로젝트는 카카오브레인의 흉부 엑스레이 초안 판독문 생성 기술의 내부 성능 검증 연구에도 활용된 바 있다. 카카오브레인이 △골절 △기흉 △폐부종 등 10개 병명을 대상으로 추출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카카오브레인의 레이블러 프로젝트가 타사 모델의 76%보다 높은 90.39%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카카오브레인은 레이블러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공개하면서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2023년 내부결산 공시를 통해 연결기준 매출액 2711억원, 영업이익 346억원을 달성했다고 16일 밝혔다. 별도기준으로는 매출액 1280억원, 영업이익 412억원을 기록하며 연결과 별도기준 모두 안정된 실적을 나타냈다. 이는 최근 2년간 공공분야, 기업군의 클라우드 SaaS 전환 사업에 선제 대응해 새로운 중장기 수익 모델을 확보하고 종속사 사업 포트폴리오를 개편해 별도뿐 아니라 연결기준의 수익성 개선에 집중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성장성과 수익 창출 모두 고려한 투자 집행과 기존 투자사의 수익성을 제고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했다. 또한 B2G, B2B 사용자의 디지털 전환이 늘어나는 흐름에서 설치형 제품인 한컴오피스,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서비스인 한컴독스, 웹기안기 등 SaaS와 웹 기반 제품 수요도 커지며 매출의 클라우드 제품군 비중은 10%를 상회했다. 한컴은 올해도 공공분야 디지털 전환과 관련한 사업에 적극 참여해 AI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한 사업 확산을 진행한다. 특히 상반기 내 ‘한컴독스 AI’ 정식 버전을 출시하고 ‘한컴 도큐먼트 QA’, ‘한컴 어시스턴트’
[더테크=조재호 기자] 메타(Meta)가 인간의 시각인식을 모방한 방식으로 훈련하는 인공지능(AI) 모델 I-JEPA의 후속작을 출시했다. 메타는 지난해 공개한 ‘이미지 공동 임베딩 예측 아키텍처(I-JEPA)’라는 이름의 이미지 데이터 학습 AI 모델의 최신 버전인 ‘V-JEPA’를 15일(현지시각) 공개했다. 아울러 해당 모델을 연구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CC BY-NC(저작자표시-비영리) 라이선스로 공개했다고 15일(현지시각) 밝혔다. V-JEPA(Video Joint Embedding Predictive Architecture)는 기존 버전에서 이미지로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에서 V로 바뀐 비디오 영상물을 학습하는 모델이다. 얀 르쿤(Yann LeCun) 메타 VP 겸 최고 AI 과학자는 “우리의 목표는 인간처럼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일반 인공지능을 구축하는 것”이라며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서비스에서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세상이 돌아가는 방식을 파악해 낯선 환경에서도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모델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V-JEPA는 영상에서 누락되거나 가려진 부분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학습한다. 기존 이미지 인식 모델
[더테크=전수연 기자] 구글(Google)이 기본 12만8000개의 토큰부터 최대 100만까지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공개했다. 특히 단어,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프롬프트에서 처리할 수 있어 개발자들의 수요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제미나이 AI 스튜디오 및 버텍스AI에서 제미나이 API와 1.0 울트라를 활용해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제미나이 어드밴스드를 선보였다고 16일 밝혔다. 차세대 모델 제미나이 1.5는 긴 문맥 이해 능력이 향상됐다. 구글은 모델이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극대화해 최대 100만 토큰을 연속 실행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이는 현존하는 대규모 파운데이션 모델 중 가장 긴 컨텍스트 윈도우를 확보한 성과로 볼 수 있다. 우선 구글은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인프라의 모든 부분에 걸친 연구를 기반으로 접근 방식을 변화했다. 현재 구글은 이 일환으로 MoE 아키텍처 바탕의 제미나이 1.5를 훈련시키고 있다. 제미나이 1.5 프로는 12만8000개의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가 기본 제공되며 프리뷰 버전에는 제한된 그룹의 개발자, 기업을 대상으로 구글 AI 스튜디오 및 버텍스AI를 통해 100만 개의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를 제공한
[더테크=조재호 기자] 사피온과 어드밴텍이 AI 엣지 컴퓨팅 시장 공략을 위한 국가 정책 사업 대상자로 선정됐다. 사피온은 16일 어드밴텍 코리아와 함께 수요 연계를 통한 시스템 반도체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인 ‘콤파스(COMPASS)’ 시제품 제작 지원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양사는 협력을 통해 고성능 엣지(Edge) AI 시장 공략에 나선다. 엣지 AI는 서비스가 필요한 장치나 제품에서 인공지능 응용이 직접 구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시스템과 비교해 엣지 AI는 저지연 실시간 서비스 및 개인 정보 보안 강화 등에서 유리하다. 다른 말로는 온디바이스(On-Device)라고도 혹은 이 둘을 합쳐 ‘엣지 온디바이스’로도 불린다. 콤파스는 산업통산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운영하고 한국반도체연구조합이 주관하는 수요 연계를 통한 시스템 반도체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인데,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수요가 있는 기업과 기술을 가진 반도체 공급 기업을 매칭하고 상용화를 위한 시젬품 개발에 필요한 사업비를 지원한다. 사피온은 데이터센터에 이어 엣지 분야에서도 사업을 확대할 계획으로 어드밴텍과 AI 엣지 컴퓨팅용 서버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사피온은 AI 반
[더테크=전수연 기자] 챗GPT의 개발사 오픈AI(OpenAI)가 프롬프트를 이해하고 해석해 캐릭터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텍스트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새로운 AI’를 선보였다. 오픈AI는 15일(현지시간) 텍스트를 동영상으로 만들어주는 AI 시스템을 공개했다. 오픈AI는 이날 블로그를 통해 해당 AI 시스템의 이름을 ‘소라(Sora)’라고 소개하며 여러 캐릭터, 특정 유형의 동작, 복잡한 장면 등 최대 1분 길이의 동영상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고 전했다. 소라는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프롬프트를 정확히 해석하고 생생한 감정을 표현하는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프롬프트에서 요구한 것뿐만 아니라 프롬프트 세계 자체를 이해한다. 이와 함께 소라는 텍스트만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면서 기존의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특히 기존 동영상을 확장하거나 누락된 프레임을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 오픈AI는 "스타일리한 여성이 따뜻하게 빛나는 네온사인과 움직이는 도시 간판으로 가득한 도쿄 거리를 걷고 있습니다. 그녀는 검은색 가죽 재킷, 긴 빨간색 드레스, 검은색 부츠를 착용하고 검은색 지갑을 들고 있습니다"라고 입력한 후 생성된 영상을
[더테크=조재호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육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대교와 엔에스데블과 협력해 한국어·스페인어 학습 서비스를 시작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학력 진단평가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16일 대교, 엔에스데블과 함께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웨일 스페이스 기반 교육 서비스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지난해 7월 3사가 AI·웹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 서비스 디지털 전환을 위해 체결한 MOU의 일환이다. 먼저 웨일 스페이스에서 ‘한국어·스페인어 능력시험 학습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TOPIK 말하기 평가 콘텐츠 △TOPIK 모의고사 △스페인어 선행 학습과정 콘텐츠 등 대교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모의고사 문항을 자동 생성하고 학생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리고 한국어·중국어·스페인어 음성인식 기술과 웨일온 등 자체 교육 솔루션도 지원한다. 한국뿐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한국어·스페인어 능력시험 학습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초등학교 교학년을 대상으로 한 ‘학력 진단평가 서비스’도 개발할 예정이다. 대교가 표준 교육과정에 맞춰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유플러스가 에릭슨엘지와 함께 5G 서비스 생태계 확장을 위한 플랫폼을 마련했다. LG유플러스는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에릭슨엘지와 손잡고 차세대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검증을 완료하고 이를 활용해 5G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검증을 통해 LG유플러스는 5G 서비스에 필요한 네트워크·인증정보·위치정보 등 데이터를 국제 표준 API 형태로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API는 통신사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제휴 기업에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주는 함수를 말한다. 이번 플랫폼 검증에서 LG유플러스는API 형태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공공재난관제 △원격주행자동차 △VR·AR서비스 등에 활용하는 시연을 완료했다. 향후 LG유플러스는 연말까지 다양한 시연을 통해 5G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6월 3GPP(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표준 기반의 원격자율주차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 이번 API 기반 5G 네트워크 플랫폼 솔루션을 계기로 다양한 기업이 5G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5G 핵심 기능을 소프
[더테크 뉴스] 인도의 모빌리티 혁신기업이 다쏘시스템과 손을 잡았다. 다쏘시스템은 14일(현지시각) 인도의 모빌리티 기업 콰고스(QARGOS)가 전기 화물차 개발을 위해 자사 플랫폼을 활용해 미래 엔지니어링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콰코스는 전기 화물차를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 물류 시스템 전환을 준비 중인 모빌리티 기업이다. 다쏘시스템은 연례 컨퍼런스인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4에서 콰고스 F9 스쿠터 플랫폼을 소개했다. 콰고스는 컨셉 단계부터 다쏘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했다. 개발 기간 동안 버추얼 트윈상에서 500회 이상의 제품 시연과 3만 마일 이상의 도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F9를 통해 단순한 제품 출시가 아닌 물류 운영과 지속 가능한 도시 배송까지 고려했기 때문이다. F9은 40여 나라에서 특허를 받았다. 3D익스피리언스 웍스로 제작돼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시뮬레이션으로 라이더의 안전을 강화해 운영 비용을 최대 90%까지 절감할 수 있어 물류 운영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콰고스는 제품 개발 환경을 통합해 엔지니어링 팀이 실시간으로 구성된 전기 화물차 플랫폼의 버추얼 트윈에서 협업할 수 있도록 했
[더테크=전수연 기자] 델 테크놀로지스(이하 델)가 의뢰한 최근 조사에 따르면 올해 AI 관련 IT 투자 계획을 가진 기업, 공공기관 약 63%가 워크스테이션을 최초로 도입하겠다는 의견을 보였다. 델은 한국IDG와 발간한 ‘업무용 PC 및 워크스테이션 사용 현황 조사’ 보고서를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AI 등 고부하 워크로드가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워크스테이션의 도입 현황, 향후 전망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또 2023년 11월 2주간 기업 IT 담당자, 일반 사무직, 제조 개발 엔지니어 등 전문 직무 사용자 272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우선 조사에서 AI 워크로드를 처리하기 위해 워크스테이션을 도입할 기업, 공공기관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였다. 현재 일반 업무용 PC만 사용하고 있으나 추후 AI 관련 업무를 위해 IT 기기, 인프라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 공공기관의 63%는 워크스테이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작년에는 AI 관련 업무에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한 기업, 공공기관이 10% 이하였으나 올해는 그 비율이 48.9%로 대폭 증가한다는 예상이 도출됐다. 기업 규모 측면에서 스타트업의 워크스테이션 도입 계획이 돋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