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국내 연구진이 금속 표면의 오염도와 일함수 변화 간 상관관계를 밝혀냈다. 일함수(work function)는 진공 환경에서 고체 표면에 빛을 쪼여줄 때, 고체 표면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는데 필요한 최소 임계 광자 에너지를 말한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하 KBSI)은 소재분석연구부 정범균 박사 연구팀이 초고진공 환경에서 백금 단결정 표면에 존재하는 미량 기체의 오염이 일함수에 미치는 정량적인 영향을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일함수는 반도체와 금속 간 전자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값으로, 고성능 회로 소자 구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반도체 소자와 금속-반도체 접합 부분 간 일함수 차이가 적을수록, 접촉 저항이 줄고 전자의 흐름이 좋아지게 된다. 통상 집적회로 내 반도체 소자를 이어주는 회로 도선으로 귀금속이 사용되는데, 이 귀금속 표면의 일함수를 정확히 알아야 고효율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일함수는 표면의 원자배열, 화학 상태, 미량의 오염에 크게 변화하므로, 이러한 변수들을 조절할 수 있어야 원하는 일함수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도체 제조는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불순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공 상태에서 이뤄지는데, 초고진공 환경에
[더테크 뉴스] 브이디컴퍼니가 안정성 및 주행성이 향상된 서빙로봇 2종과 주류‧음료 서빙솔루션 1종을 새롭게 출시하며 제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이로써 국내 서빙로봇 기업 중 가장 많은 서빙로봇 모델을 공급하게 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서빙로봇은 ▲‘푸두봇 프로(PuduBot Pro)’ ▲‘스위프트봇(SwiftBot)’ ▲‘브이디셔틀(VDShuttle)’이다. 푸두봇 프로는 브이디컴퍼니의 대표 서빙로봇 ‘푸두봇’의 업그레이드 모델로 안정성 및 주행성이 크게 향상됐다. 듀얼 라이다 시스템을 탑재해 반경 360도 감지 기능으로 주변 환경을 정확히 인식하며, 레이저 슬램과 비전 슬램을 결합한 푸두슬램 맵핑 시스템을 적용해 주행 안정성이 뛰어나다.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해 3시간 충전으로 최대 24시간 사용 가능하며, 자동 충전 기능을 지원한다. 스위프트봇은 레이저 프로젝션 기능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로봇의 이동 동선을 표시해 주행 방향 및 도착지를 안내하고, 아이콘으로 특화된 이벤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로봇 전면 및 후면에 라이다 센서를 탑재해 장애물을 인식, 진로를 감지하고 예측해 후진으로 회피한다. 전방 보행자를 위한 후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