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T 뉴스
멀티미디어
독자 · 소통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양자컴퓨터 간의 성능 비교와 데이터 분석 기반 시스템 연구를 위해 리드버그 양자컴퓨터의 표준 실험데이터를 측정해 완전 공개했다. 향후 배터리 소재 개발이나 신약 개발, 암호 해독 등 다양한 연구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이스트는 13일 안재욱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1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로 조합 최적화 문제를 계산한 결과 데이터베이스와 프로그램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조합 최적화 문제 중 하나인 최대 독립집합 문제(Maximum independent set problem)는 전력망을 가장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방법을 찾거나 SNS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을 검색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할 수 있다. 카이스트 연구진은 최대 141큐비트를 활용해 70만 종류 이상의 그래프 최적화를 계산했고 양자컴퓨터의 계산 결과와 데이터분석 프로그램 일체를 연구진을 비롯한 대중에 공개했다. 이와 관련 지난해 카이스트 연구진은 20큐비트급 리드버그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최대 독립집합 문제의 풀이를 시연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1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직접 양자컴퓨터를 제작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를 이용해야 한다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