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올해 IT 이슈의 핵심은 단연 생성형 인공지능(AI)이다. 챗GPT 열풍을 시작으로 모든 산업에 AI 융합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올 하반기 들어 빅테크 기업들은 기업용 LLM(Large Language Model, 거대언어모델) 시장 공략에 나섰다. 대다수 기업은 AI 전환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나 산업군이나 기업 문화에 따라 도입 방식은 천차만별인 것으로 알려졌다. LLM 구축 방식으로는 온프레미스(사내구축형)를 가장 선호한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방식은 퍼블릭과 프라이빗 그리고 이를 혼합한 하이브리드형이 있다. (관련 기사: 빅테크의 생성형 AI 경쟁 2라운드 ‘기업용 AI 시장’) (관련 기사: 국내 기업용 AI 시장, 유연한 ‘로컬 서비스’ 강조) 기업용 LLM에 앞서 생성형 AI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핵심 기술인 LLM과 이를 구동하는 컴퓨팅 자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챗GPT는 생성형 AI 서비스의 일종으로 대화 형식으로 원하는 답을 받아볼 수 있는데, 그 기반은 LLM이라는 AI 모델에 있다. AI 모델은 데이터를 학습해 텍스트로 답변하거나 이미지 생성, 고도화된 검색 등의 서비스에 활용된다. 이러한 모델을 만들고
[더테크=조재호 기자]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최근들어 ‘기업용 생성형 인공지능(AI)’를 내놓으며 비즈니스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챗GPT 이후 다양한 생성형 AI 기술이 발표되고 기업들은 AI 도입을 검토 중이다. 기업들의 ‘AI 전환’을 진행할 업체들의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빅테크의 생성형 AI 경쟁 2라운드 ‘기업용 AI 시장’) 올해 하반기 들어 국내 기업들도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언어모델(LLM)을 연이어 공개하고 있다. 지난 8월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를, 9월에는 솔트룩스가 ‘루시아’를 공개했다. 카카오도 ‘KoGPT2.0’을 연내에 공개할 예정이다. 국내 이통3사도 클라우드를 포함한 데이터 분야를 ‘차세대 먹거리’ 사업 영역으로 낙점하고 적극적인 투자와 함께 비즈니스 전략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국내 AI 대표기업 중 하나인 솔트룩스 김재은 AI랩장은 “국내 AI 기업들은 기존 고객사와 오랜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축적된 보안 노하우와 함께 한국어 처리 부분에서 강점을 지녔다”며 “비즈니스 측면에서 수익성 부분도 고려해야겠지만 시장을 빠르게 점유할 수 있는 방식을 더 선호할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미국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