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SK하이닉스가 지난해 4조9845억원의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SV)를 창출했다고 27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다운턴의 영향으로 2023년 SV 창출액은 전년 7조5845억원 대비 34% 감소했다”며 “SV 측정 항목 전반적으로 부진했으나 HBM, DDR5 등 전력 효율을 극대화한 고성능 제품 개발을 통해 생산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줄이고 협력사들과 동반성장 등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 결과 관련 측정 항목에서는 의미 있는 실적을 거뒀다”고 전했다. SK그룹 공통의 신식이 적용되는 SV 측정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SK하이닉스는 지난해 ‘경제간접 기여성과’ 5조452억원, ‘환경성과’ 8258억원, ‘사회성과’ 7651억원을 기록했다.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납세액 감소의 영향으로 2022년 대비 35% 줄었다. 환경성과는 전력 고효율 제품 개발, 온실가스 배출 총량 저감을 통해 부정적 영향이 전년 대비 21% 감소했다. SK하이닉스는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2022년 사내에 탄소관리위원회를 조직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회성과는 회사가 다운턴으로 투자 규모를 축소
[더테크=전수연 기자] 네이버가 포털 사이트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현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협약을 추진했다. 네이버는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 환경부, 서울대학교와 ‘탄소중립·녹색 성장의 대국민 인식 제고 및 실천 유도를 위한 정보제공’에 협력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우선 네이버는 환경부가 운영하는 ‘탄소중립 정책포털’에서 제공되는 통합 정보를 네이버에서 검색 등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또 서울대 기후테크센터가 연구 개발 중인 국내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정보도 네이버 통합검색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울대, 환경부와 논의를 이어간다. 네이버는 환경부와 함께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데 협력한다. 탄소중립포인트는 친환경제품 구매, 다회용기 이용, 전자영수증 발급 등 친환경 활동을 실천하면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인센티브를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지급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네이버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이용자들이 기후변화 관련 정보 접근성과 탄소중립 실천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모두 높일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과 다양한 방법을 고민해 나갈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