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LS전선이 미 서부 지역에 처음으로 해저케이블을 공급한다. LS전선은 2일 미국 송전망 운영사 LS파워그리드 캘리포니아와 10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LS전선은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이번에 납품하는 케이블은 캘리포니아주 북부 세크라멘토강에 설치되어 오리건주 등 서북부에서 캘리포니아주로 전력을 송전하는데 활용된다. 이는 서부지역 전력망 안정화를 위한 사업의 일환이다. 캘리포니아주는 2035년까지 약 61억달러(8조4539억원)를 투자해 26개 신규 송전망과 85GW 이상의 재생에너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LS전선 관계자는 “캘리포니아주의 대규모 재생에너지 송전망 구축 계획에 맞춰 고객사와 협력을 강화해 시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국 해저케이블 시장은 노후 케이블의 교체, 신재생에너지 개발, AI와 전기차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LS전선읜 최근 자회사 LS그린링크, LS에코에너지를 통해 미국과 영국, 베트남에서 생산 현지화를 추진하는 등 글로벌 해저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더테크 뉴스] 대한전선이 미국 최대 규모의 송·배전 전시회에 참가해 다양한 전략 제품을 선보였다. 대한전선은 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진행되는 ‘IEEE PES T&D’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IEEE PES T&D는 격년마다 개최되는 미국 최대 규모의 전력산업 전시회로 전세계 660여개 전력기자재 업체들이 참여해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대한전선은 900ft² 규모의 부스를 마련해 △노후 전력망 교체 솔루션 △해상풍력 솔루션 △초고압직류송전(HVDC) 시스템 △통신케이블 솔루션 등의 테마로 30여 종의 전략 제품을 소개했다. 대한전선은 노후 전력망 교체 솔루션을 전면에 배치했다. 노후 전력망 교체 솔루션은 기존에 매설된 관로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노후된 케이블만 교체하는 기술이다. 미국의 지중 송전선로는 절반 이상이 40년을 지나 노후 전력망의 교체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해상풍력 솔루션 파트에서는 국내외 프로젝트에 공급한 다양한 해저케이블과 포설선(CLV)를 소개하고 해저케이블 공장의 단계별 투자 및 생산 계획을 공개했다. 이외에도 국제 공인 인증을 획득한
[더테크=이지영 기자] 대한전선이 글로벌 전력망 호황기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갔다. 대한전선은 29일 연결재무재표 기준으로 1분기 매출 7885억원, 영업이익 288억원을 잠정 집계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12% 잠정이익은 63% 늘었다. 2024년 1분기 8000억원에 가까운 매출을 거둔 대한전선은 2011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매출고를 올렸다. 영업이익 288억원도 2010년 이후 54분기 만에 최고의 성과를 보였다. 영업이익률도 지난해 같은 기간 2.51%에서 45% 상승한 3.65%를 기록했다. 실적 개선의 주요인으로는 높은 수주 잔고를 기반으로 한 매출 촉진으로 보인다. 인공지능(AI) 산업의 발달과 신재생 에너지 확대로 신규 전력망 구축을 위한 수요가 늘어나고 노후한 전력망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서 미국과 유럽, 중동 등 주요 국가에서 고수익 제품군을 중심으로 수주가 확대되고 있다. 대한전선의 2023년말 기준 수주잔고는 1조7359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15% 증가했다. 이번 실적발표와 함께 대한전선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주 확대를 통해 수주 잔고량을 지속 유지하면서 실적을 높여갈 계획이라고 밝히며 해저케이블과 HVDC 케이블
[더테크=전수연 기자] LS머트리얼즈가 전력망 안정화를 위한 ‘대전력 부하 제어시스템(Enhanced STATCOM)’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제어시스템은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인 울트라커패시티(Ultra Capacitor)를 활용해 전력망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력을 안정되게 공급한다. UC가 전력망에 전력을 주입하거나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일반 배터리와 달리 충, 방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전압, 주파수 변동에 대한 보상 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주로 풍력, 태양광 발전 등 기상 상황에 따라 전압이 급변하는 대규모 전력망에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LS머트리얼즈가 최초로 개발했으며 독일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다. 또 중대형 UC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술 진입 장벽이 높다. LS머트리얼즈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규모가 커짐에 따라 0.1초 안에 메가와트급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독일 등 유럽을 중심으로 대규모 전력망에 도입을 시작하고 시장 규모가 2026년 1000억원, 2030년 5000억원 이상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LS머트리얼즈는 이번 개발이 시장 형성 초기
[더테크=이지영 기자] LS에코에너지가 싱가포르 시장 점유율 1위인 LS전선과 협력해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LS에코에너지는 싱가포르 전력청에 초고압 케이블을 공급한다고 5일 밝혔다. 베트남 생산법인인 LS-VINA가 올해 말부터 120억원 규모의 케이블을 공급할 예정이다. LS에코에너지 관계자는 “초고압 케이블은 영업이익률이 두 자릿수로 높은 편이다”며 “이를 비롯한 고부가가치 제품 시장 확대를 통해 실적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송전탑 없이 지하의 초고압 케이블로만 전력망을 구축하고 있어 아시아 최대 전력 시장 중 하나로 꼽힌다. 그만큼 글로벌 전선업체 간 수주전이 치열한 곳이다. 업계에서는 싱가포르 정부가 해상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 공급원 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어 전력 시장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LS에코에너지는 베트남 국영 페트로베트남 그룹이 베트남과 싱가포르간 해저 전력망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페트로베트남 그룹과 협력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