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정부가 21일 개최된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대규모 정보시스템 구축체계 혁신방안(이하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혁신방안은 대규모 정보시스템 재구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 및 지연을 예방해 국민 불편과 사회적 혼란을 방지하고, 부처별 차세대 정보시스템 구축 등 대규모 정보화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기본 방향을 두고 있다. 그간 많은 국민이 사용하는 정보시스템을 재구축하는 과정에서 소통 지연이나 개통 초기 장애·오류로 국민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지난해 1월 발표한 ‘디지털행정서비스 국민신뢰 제고 대책’을 추진해 장애예방·대응 중심의 체계는 강화했지만, 대규모 시스템 구축 시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정부는 이번 혁신방안을 마련해 ‘전문성과 안정성 확보를 통한 신뢰받는 정부 구현’을 목표로, 대규모 정보시스템의 안정적인 구축을 위한 3대 추진 방향과 10개 주요 과제를 담았다. 3대 추진 방향은 대규모 사업의 복잡도와 난이도 완화, 장기간 소요 사업의 변화 유연성 확보, 민간의 전문성 활용 및 책임성 강화이다. 먼저, 대규모 사업의 복잡도·난이도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정부의 재난안전 정책 강화에 따라 전사적 차원의 재난안전 대응역량 강화 및 기관의 대외 신뢰도 확보에 나선다. KISA는 BCMS(기업의 재해경감활동 촉진을 위해 행정안전부에서 인증해 지원하는 제도) 관련 국제 표준 인증인 ISO 22301(비즈니스연속성경영시스템)을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 ISO 22301은 국제 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사회 안전 분야의 국제 표준규격이다. 재난, 재해, 테러 등 비상 상황 발생으로 인한 업무 중단 위험발생 시에도 복구 목표 시간 내에 운영 정상화할 수 있는 업무 연속성을 갖춘 기관에 부여된다. KISA는 지난 11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관련 인증인 ISO 45001을 재인증 받은 데 이어 재난 관리 인증인 ISO 22301도 획득했다. 이를 통해 KISA는 근로자의 안전보건과 전사적 차원의 재난안전 대응체계 확립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해당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KISA는 올 하반기 업무 연속성 경영방침을 제정하고 전 부서 대상 BCMS 인식 교육 및 업무 영향 분석을 통해 핵심 업무별 복구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또한 중단 시나리오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