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스노우플레이크가 2025년 상반기부터 국내 기업들에게도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를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아마존웹서비스(AWS) 기반으로 스노우플레이크 AI 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해왔다. 내년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환경으로 서비스 지원이 확장됨에 따라 스노우플레이크는 더 많은 국내 고객에게 통합적이고 안전한 데이터 관리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스노우플레이크는 데이터를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에서 분석할 수 있는 크로스 클라우드 서비스 또한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은 스노우플레이크의 클라우드 간 기술 레이어인 ‘스노우그리드’를 통해 여러 지역과 클라우드 플랫폼에 걸쳐 데이터를 복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도 쉽게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컴플라이언스, 보안 및 프라이버시 기능을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한 거버넌스 모델인 ‘스노우플레이크 호라이즌(Snowflake Horizon)’을 통해서도 클라우드 간 유연성과 협업을 지원한다. 스노우플레이크 호라이즌은 데이터 혹은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관된 거버넌스와 상호운용성을 제공해 고객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돕는다. 이번 한국에
[더테크=조재호 기자] 에이모가 CES 기간 중 단독 컨퍼런스 ‘에이모 AI 테크 서밋’을 열고 데이터 전주기 프로세스 ‘4Core’를 공개했다. 에이모의 신제품 4Core는 업계 최초의 엔드투엔드(End-to-End) 데이터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정제 △ 데이터 가공 △데이터 평가까지 4가지 데이터 모델의 전 과정을 통합해서 수행한다. 오승택 에이모 대표는 “이번 CES에서 공개한 4Core가 새로운 AI 데이터 경험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관계자들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며 “기술 고도화를 통해 AI 시대의 핵심인 데이터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등 분야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햇다. ‘데이터 수집’(Data Collection) 모델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무선 네트워크와 인공지능 칩을 사용해 보다 가벼운 시스템 구축과 함께 고효율 데이터 수집을 진행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 정제’(Data Curation)를 통해 핵심 데이터를 추출해 최적화된 데이터 셋을 형성한다. 정제된 데이터는 ‘데이터가공’(Data Annotation)을 거쳐 추출한 데이터를 사람, 차량 등 특정 객체를 자동으로 분류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