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지스트가 자율주행 로봇 개발업체 트위티가 제작한 로봇에 햅틱 디바이스를 부착하여 전시 공간 내에서 시각장애인이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관람 경로를 안내하고 개인 보행 속도에 따라 주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동 접근성 지원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장애인의 문화 향유권 확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과학기술원가 지난 2013년 문을 연 한국문화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문화향유 및 문화기술 서비스에 노력을 쏟고 있다. 연구소는 지난 4월 시각장애 특수학교인 광주세광학교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시각장애인의 전시 관람 접근성 향상을 위해 관람객 특성에 따른 개인 맞춤형 전시 안내 서비스, 촉각 인터랙션을 통한 전시 체험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오는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광주세광학교 본관 4층 강당에서 시각장애인 학생들을 대상으로‘개인 맞춤형 전시관람 컨시어지 실증 서비스'는 전시관 공간정보 및 전시물 데이터가 연동된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사용자 프로파일 인지 기술을 이용해 개인 맞춤형으로 전시를 안내하는 한편 작품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한다. 윤정원 연
[더테크=조명의 기자] 국내 연구진이 자율주행차 운행 중 동물을 사람으로 잘못 인식하거나 기존에 학습한 질환 중 가장 유사한 질환으로 오진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지스트는 융합기술학제학부 이규빈 교수 연구팀이 학습한 적 없는 ‘모르는 데이터’를 구별해 내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대부분의 AI는 주어진 후보 중 정답이 없으면 가장 비슷한 답을 찾도록 설계되어 있다. 딥러닝 모델은 이미지 인식 능력이 탁월해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답을 몰라도 가장 유사한 값을 정답으로 잘못 인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자율주행 차량이 장애물을 잘못 인식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이를 보완할 AI모델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AI모델은 여러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블록은 똑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컨베이어 벨트에 재료(데이터)가 들어오고, 여러 사람(블록)이 분업해 순서대로 물건을 완성하는 것과 같다. 연구팀은 이 중 ‘모르는 데이터’ 탐지에 적합한 블록을 찾아내기 위해 직소 퍼즐을 이용했다. 블록의 활성도를 기준으로 모르는 데이터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연구팀은 실제 이미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