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T 뉴스
멀티미디어
독자 · 소통
[더테크=조재호 기자] 지난해 미국의 테슬라를 넘어 세계 점유율 1위에 오른 중국의 전기차 업체 BYD의 해외 진출이 본격화하면서 미국의 대응에 이목이 쏠린다. 이와 관련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는 전기차에 관세를 올리면 한국은 이익이지만 전기차 대신 부품에 부과되면 한국이 손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친환경 자동차이자 미래 모빌리티의 중심축인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전망이다.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산 전기차의 약진과 더불어 신기술 적용의 부침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각국의 관세 정책도 변수 중 하나로 떠올랐다. SNE리서치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세계 전기차 시장은 등록 차량 기준 1406.1만대로 22년 대비 33.4% 성장했다. 아울러 중국의 BYD가 288만대를 판매고를 올리며 1위 자리를 이어갔다. 이는 기존 전기차 시장의 대명사로 불리는 테슬라의 180만대를 앞지른 결과다. 차량 가격이나 영업이익 등의 요소를 따져본다면 100만대라는 격차의 의미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배터리 공급과 전기차 제조를 함께 진행하는 수직통합적 구조를 갖춘 BYD의 약진은 가성비 혹은 저가형 시장 공략의 결과로만 보기엔 그 무게감이 남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