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데이터 얼라이언스를 소개하고 기계 스마트화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현재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및 디지털 전환 현황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제조 현장 고도화 방안으로 ‘데이터 디지털화’가 특히 강조됐다. 한국스마트데이터협회(이하 데이터협회)와 숭실대학교가 주관하고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한 ‘2024 데이터 얼라이언스 세미나’가 숭실대학교 베어드홀에서 19일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는 첫 순서로 김문겸 데이터협회 회장의 ‘데이터 얼라이언스 및 기계 스마트화 사례 소개’ 세션이 소개됐다. 우선 데이터협회는 현재 디지털 전환과 AI를 결합해 자동화를 넘어 자율화까지의 중소기업 제조 현장 변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스마트 팩토리 지원금을 투입했었지만, 실제 매출 100억 원 미만의 기업들의 스마트 팩토리 전환율은 76% 수준이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그간 기계장비의 중요성에 비해 기계장비의 디지털화는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이 때문에 데이터협회는 중소기업 제조 현장에서의 중요 요소로 ‘기계’를 선정했다. 김문겸 회장은 “AI 시대에 기계장비 단위의 데이터 기반 진행이 필요하고 스마트화를 선
[더테크=조재호 기자] 전반적인 분위기는 차분했지만 우리나라의 소부장 산업 전반을 둘러볼 수 있는 전시회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았다. B2B 영역에 집중했고 기업 관계자나 관련학과 학생으로 보이는 관람객이 주를 이뤘다. ‘2023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대전(CoMPEX KOREA 2023, 이하 컴펙스 코리아)'이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New Normal, New Supply Chain'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기자가 방문한 시간이 오전이어서 그럴지도 모르지만 일부 부스를 제외하곤 쾌적하게 관람할 수 있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몇몇 부스는 본격적인 관람객 맞이에 앞서 제품을 정비하는 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관련기사: [영상]컴펙스코리아 2023,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소부장’) 행사장 입구에서 관람객을 맞이한 첫 부스는 이차전지 종합기술센터를 표방하는 ‘울산 테크노파크’였다. 양극재 재료를 비롯해 전기차용 배터리 관련 장비를 전시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부스 관계자는 “이차전지 생애 전주기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다양한 기업들이 입주했다”며 “더 많은 기업의 참여와 센터 홍보를 위해 이번 전시회에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