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조재호 기자] 올해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국내 브랜드 전기차 판매량이 작년보다 6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의 '상반기 미국 전기동력차 판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국내 브랜드 전기동력차(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수소전기차) 판매량은 7만2천528대로 작년 동기보다 46.4% 증가했다. 신형 BEV 투입과 법인 판매 제작사 프로모션 확대 등으로 BEV 판매는 60.8% 증가한 반면 PHEV는 국내 생산조정 작업으로 출하량이 제한으로 3.5% 소폭 감소했다. 전체 전기동력차 판매가는 46.4% 증가했다. 보고서는 올해 전기차 캐즘으로 인한 순수전기차(BEV)의 수요 둔화로 인해 지난해 상반기에는 54.8%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전기동력차 유형별로는 순수전기차(BEV)는 전년 대비 0.2% 감소한 53.6만 대가 판매됐다. 전체 승용차 판매의 6.9%를 차지해 전년 대비 0.1%p가 축소됐다. 반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는 전년 대비 35.7%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전기동력차 판매 감소세를 완화됐고 수소전기차(FCEV)는 전년대비 82.4% 감소한 322대가 판매됐다.
[더테크 뉴스 조재호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과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관련 ‘글로벌 상호운용성 시험센터’ 구축해 친화적인 전기차 충전 오류 개선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KERI는 남양연구소(경기도 화성시 소재)에서 현대자동차·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 전동화시험센터장 한동희 전무, 한국전기연구원 김남균 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상호운용성 시험센터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16일 밝혔다.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은 전기차와 충전기 간 충전 호환성을 뜻한다. 전기차와 충전기 사이에는 일종의 연결 장치이자 충전잭이라고 할 수 있는 ‘커플러’가 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통신 프로토콜인 ‘시퀀스’도 존재한다. 커플러는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콤보1로 권고 후 호환성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시퀀스는 표준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국내외 다수의 완성차 대기업과 다양한 충전기 기업들이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고 제조사별 표준 해석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향후 PnC(전기차 내 인증서를 통한 충전 과금 결재), V2G(양방향 충전 기술) 등 신기술이 적용될
[더테크=조재호 기자] 겨울철 스노우체인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 모듈을 타이어에 탑재해 전기 신호로 체인을 돌출시키는 원리다. 기존 탈착식에서 버튼 한 번 누르는 것만으로도 자동차가 알아서 스노우체인을 장착하고 해제해 눈길에서의 안전 운행을 돕는다. 현대차그룹은 11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스노우 체인 일체형 타이어 기술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휠과 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홈을 만들고 그안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 모듈을 넣는 구조다. 이 기술은 형상기억합금에 전류가 흐르면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특성을 활용했다. 휠 안쪽에 형상기억합금은 일반 주행에서 힘에 눌려 L모양을 하고 있다가 운전자가 기능을 활성화하면 전류가 흐르면서 원래 모양인 J모양으로 변해 타이어 밖으로 모듈을 밀어내는 구조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누구나 차량이 눈길에 미끄러지는 경험을 해보지만 스노우체인을 장착하고 해제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입장에서 더 안전하고 편리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관련 특허를 한국과 미국에 출원했으며 기술 개발 고도화 및 내구성·성능 테스트를 거쳐 양산여부를 검토할
[더테크=문용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인공지능(AI) 활용한 ‘문제해결 능력자’를 찾는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회사 측은 ‘2023 연구개발본부 AI 경진대회’(이하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올해로 3번째 개최되는데 연구개발본부 연구원과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 참가자가 한 팀을 이루고 AI 알고리즘을 통해 실제 연구개발 현장에서 발굴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프로젝트형 경진대회다. 이번 경진대회에서는 총 30여명의 참가자를 선발하고, 이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진대회 기간 동안 모빌리티 연구개발 직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실무진의 직무 멘토링과 남양연구소 현장투어를 제공한다. 아울러 참가자의 역량 향상과 실효성 있는 프로젝트 완수를 위해 AI, 빅데이터 분야의 전문교수진이 정기 코칭을 실시한다. 회사 측은 참가자들의 AI 역량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사전에 데이터 사용 기준을 마련하고 함께 팀을 이루는 연구원을 대상으로 심도깊은 교육을 실시하는 등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프로젝트가 종료되면 참가자들에게는 경진대회 활동 증명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