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네이버가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 안에 신분증을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실물 신분증 대비 높은 편의성과 보안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으로 공공, 금융, 병원, 편의점 등 실물 신분증이 사용되는 온·오프라인 분야 어디서든 현행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녔다. 현재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을 발급하고 있다. 오는 12월 27일부터는 17세 이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주민등록증도 발급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은 블록체인 기반 DID(Decentralized Identity) 기술을 적용해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신분증 정보는 이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기에서만 안전하게 보관되며 블록체인을 통해 신분증 정보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모바일 신문증은 지문, 안면인식 등 생체 인증 기술이 적용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도난 및 분실 신고 시 신분증이 자동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도용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황지희 네이버 전자인증센터 리더는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통해 신분 확인이 필요한상황에서 편리하고
[더테크=조재호 기자] 팀네이버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초대규모 AI 기술 기반 대국민 건강 서비스 강화를 위해 협력한다. 네이버와 네이버클라우드, 국민보험공단은 지난주 네이버 제2 사옥 1784에서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초대규모 AI 기술 기반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3사는 △초대규모 AI 및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 혁시 및 공단 업무 효율화 △공단이 제공하는 건강정보, 통계정보의 접근성 강화 등 국민 삶의 질과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는 “팀네이버의 기술과 플랫폼 시너지를 기반으로 양질의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해 한층 편리한 대국민 AI 서비스를 구축하고 내부 업무 생산성 향상까지 공단의 다양한 공공서비스 혁신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건보공단이 보유한 데이터를 네이버의 초대규모 AI인 ‘하이퍼클로바X’에 결합해 대국민 서비스를 구축하고 공단 내부 업무 생산성을 향상할 방안을 모색한다. 네이버클라우드의 AI 안부 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 혁신도 논의한다. 아울러 네이버는 공단이 제공하는
[더테크=조재호 기자] 네이버가 AI 기술을 바탕으로 초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확대 적용한 새로운 네이버 앱을 11월 2일부터 선보인다. 새로운 네이버앱은 더욱 다양해진 콘텐츠 영역으로 사용자의 관심 영역과 연계된 콘텐츠를 추천하고 새로운 관심사를 발견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새로운 네이버앱은 사용자들이 콘텐츠 유형에 따라 △쇼핑 △홈 △콘텐츠 △클립 4개의 탭으로 구성된다. 홈 화면 하단에는 콘텐츠 추천 서비스 ‘홈 피드’가 개인별 취향에 맞는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는 자사 콘텐츠 추천기술 AiRS가 적용된 콘텐츠 영역을 확장해 창작자에게 더 많은 노출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관심에 맞는 콘텐츠를 탐색하고 발견하는 즐거움을 제공할 계획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더테크에 “새로운 네이버앱은 사용자의 관심사에 최적화된 콘텐츠 추천 기능과 함께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클립 콘텐츠를 추가했다“며 “네이버의 메인 탭 중 하나의 탭을 할애할 만큼 진심인 부분이다“고 말했다. 네이버 앱의 첫 화면인 ‘홈’에서는 위젯보드를 활용해 증시, 날씨, 기상특보 등 사용자가 매일 확인하는 정보와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