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4차 발사에서 위성 13기를 목표 궤도에 정확히 안착시키며 또 한 번 성공을 기록했다. 이번 성과는 대한민국이 자체 우주 수송 능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했음을 입증하는 이정표로, 민관이 함께 준비한 발사 운영 체계 또한 완성도를 인정받았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누리호 4차 발사가 국민적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27일 발표했다. 누리호는 1시 13분 정각에 발사돼 예정된 비행 시퀀스를 모두 정상적으로 수행했으며, 발사체 비행정보(텔레메트리) 초기 분석 결과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위성이 목표 고도 600km 궤도에 정확히 안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1·2·3단 엔진 연소부터 페어링 분리까지 모든 과정은 계획대로 진행됐다. 위성 분리 역시 정상적으로 수행되며 발사체의 비행 성능이 다시 한번 검증됐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1시 55분경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 성공했고, 태양전지판 전개 등 초기 상태가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12기의 큐브위성 또한 정해진 교신 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태 점검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발사 성공은 누리호의 신뢰성을 크게 높였을 뿐 아니라 한국이
[더테크 이승수 기자] KAIST가 개발한 초소형 홀추력기 실증 위성 ‘K-HERO’가 누리호 4차 발사체에 탑재돼 우주에서 차세대 전기추력 기술을 검증한다. 국내 연구진이 만든 전기추력기가 초소형 위성에서 직접 실증되는 첫 사례다. KAIST는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최원호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큐브위성 ‘K-HERO(KAIST Hall Effect Rocket Orbiter)’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이륙하는 누리호 4차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향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발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 기술을 이전받은 이후 민간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관하는 첫 누리호 발사라는 점에서 국내 우주산업 전환의 중요한 장면이 될 전망이다. 이번 미션에는 차세대중형위성 3호를 포함해 산학연이 개발한 12기의 큐브위성이 함께 발사되며, K-HERO 역시 그중 하나다. KARI가 주관한 ‘2022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기초위성 개발팀으로 선정되며 개발이 본격화된 K-HERO는 가로·세로 10cm, 높이 30cm, 무게 3.9kg의 3U 표준 큐브위성으로 설계됐다. 발사체 인터페이스, 전기 규격, 안전성 기준을 모두 충족하며 우주환경 검증 임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여러분께 한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10월 2주차 ‘주간 Tech Point’는 로보테크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로보월드’이야기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2023 로보월드가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300여 기업 800여 부스 규모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산업용부터 서비스까지 다양한 로봇을 만나볼 기회가 됐습니다. 국제로봇 비지니스 컨퍼런스와 국제로봇콘테스트 등 다양한 부대 행사도 함께 진행됐습니다. 아울러 참가기업들의 비즈니스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구매 상담회와 신제품‧신기술 홍보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한 비즈니스 창출기회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 로봇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발굴과 투자유치, 사업화, 네트워킹 활성화 지원을 위한 ‘투자유치데이’ 등도 마련됐습니다. 행사장 중앙에선 가장 큰 규모를 현대위아가 부스를 꾸렸는데요. 이번 행사 참여와 함께 자사의 로봇 기술력을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형발사체(KSLV-II) 누리호가 25일 3차 발사에 성공했다. 이번 발사는 실용적인 위성을 목표 궤도에 올려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민간기업이 발사 과정에 참여해 ‘뉴스페이스 시대’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민간기업 중 HD현대중공업(이하 HD현대)은 ‘발사대시스템’ 운용지원을 맡아 성공에 기여했다. 앞선 1·2차 발사에서도 발사대 시스템 운용 지원을 담당한 바 있다. HD현대는 지난 2013년 나로호(KSLV-Ⅰ) 발사대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6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누리호 발사를 위한 한국형 발사대 시스템을 수주했다. 2단 발사체였던 나로호와 달리 3단 발사체로 크기가 커진 나로호에 맞는 새로운 발사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HD현대는 제2발사대 기반시설 공사를 시작으로 지상 기계설비(MGSE), 발사대 추진제 공급설비(FGSE), 발사대 발사 관제설비(EGSE)까지 시스템 전반을 독자 기술로 설계해 설치하고 발사 운용까지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발사대 시스템 공정기술의 국산화율을 100%로 끌어올려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발사에 성공했다. 이번 발사는 한국이 독자 개발한 발사체에 실용급 위성을 탑재해 발사체 본연의 역할을 최초로 수행했다는 의미가 있다. 아울러 민간기업 주도로 진행되는 우주개발사업인 ‘뉴 스페이스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24일 누리호 점검 과정에서 발생한 이상 상황에 대한 조치를 완료하고 25일 18시 24분 누리호 3차 발사를 진행했다. 발사 후 누리호는 1단 분리와 페어링 분리, 2단 분리를 거쳐 목표 궤도인 550km 상공에서 본 임무인 위성 분리를 마무리했다. 이번 발사의 남다른 의미에는 실용급 위성을 탑재하고 쏘아올린 최초의 시도라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앞선 두 차례 발사에서는 위성모사체나 성능검증위성만 탑재됐다. 이번에 누리호에 실리는 위성은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민간기업이 제작했다. 이번 성공을 계기로 항우연이 2027년까지 총 6874억원을 들여 추진 중인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누리호는 향후 네 차례 더 발사해 기술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발사체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국내 우주산업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3차 발사가 예정 시각을 몇 시간 앞두고 취소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24일 6시 24분으로 예정된 누리호의 발사 준비 과정에서 제어컴퓨터와 발사대 설비 간 통신 이상이 발생해 헬륨 공급 밸브의 문제가 생겨 예정된 3차 발사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항우연 연구진들이 통신 이상 현상을 검토 중이다. 원인 분석 및 이상 현상에 대한 조치가 완료된 후 발사 일정이 정해질 예정이다. 이런 상황에 대비해 누리호는 25~31일을 예비일로 정해뒀다. 오태석 과기부 1차관은 “누리호 3차 발사를 위해 25일 오전 중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하여 상황을 종합 검토한 후 일정을 다시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