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건설이 공모전을 진행해 미래 건설 분야의 혁신을 주도할 잠재력을 지닌 기업을 적극 발굴한다. 최종 선발된 스타트업은 실증 사업을 거쳐 현업 확대 적용 및 투자 검토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질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10일 우수 스타트업을 지원·육성하기 위한 공모전 ‘2024 현대건설 x Seoul Startup Open Innovation’을 통해 혁신 기술을 보유한 15개 기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건설 산업 내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현대건설과 스타트업이 함께 만들어가는 개방형 기술혁신 프로그램으로 서울시 스타트업 육성지원기관인 서울경제진흥원과 함께 2022년부터 매년 공동으로 개최되고 있다. 올해는 지난 3월부터 진행된 접수기간동안 총 227개의 스타트업이 지원했다. 심사를 거쳐 스마트 건설기술 분야 6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1개, 스마트 안전 분야 1개, 미래주거 분야 5개, 현업 Needs 해결 1개. 스팅 블록 1개 등 총 15개 스타트업이 최종 선발됐다. 최종 선발된 스타트업은 현대건설과 실증 사업협약 체결후 10월까지 약 4개월과 현업부서와 PoC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서비스에 대한 파일럿 개발,
[더테크=문용필 기자] 카카오가 파트너사와의 동반 성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섰다. 22일 판교 오피스에서 중소기업벤처부(이하 중기부)와 함께 ‘납품대금 연동제 로드쇼’를 개최한 것. 이번 로드쇼는 플랫폼 기업으로서는 최초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현재 카카오는 납품대금 연동제 동행 기업으로 참여중이다. ‘납품대금 연동제’란 원재료의 가격 변동분을 납품 대금에 반영하는 제도로서 중소협력사의 부담을 덜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 22조 2에는 공급 원가가 변동돼 납품 대금 조정이 불가피할 경우 수탁기업이 위탁 기업에 납품 대금 조정을 신청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오는 10월 시행되는 상생협력법에는 위탁기업이 수탁기업에 발급해야 하는 약정서에 납품 대금 연동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키도록 했다. 중기부는 현재 개정법 시행을 앞두고 참여기업 확대를 위해 로드쇼를 진행하고 있다.(관련기사) 카카오는 지난해 9월부터 해당 제도 운영 시범 기업으로 참여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5월에, 카카오페이는 이번 로드쇼를 기점으로 동행기업 참여 의사를 밝혔다. 조석영 카카오 공동체준법경영실장은 “많은 파트너들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