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이하 DDI)가 IBM의 연례 컨퍼런스에서 미래 컴퓨팅 기술을 활용 사례에 대해 논의했다. 회사는 실질적인 비즈니스 가치 창출을 위해 대내외 역량 강화에 무게를 뒀다. DDI는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IBM 씽크 2024(Think 2024)’에 참가했다고 27일 밝혔다. 22일, 23일 양일간 패널 토의에 참여한 DDI는 두산의 퀀텀컴퓨팅과 사이버보안 관련 미래 전략과 방향성을 공유했다. IBM 씽크는 생성형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데이터 플랫폼 등 IBM의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하고 해당 기술을 활용한 기업의 디지털 혁신 방안을 제시하는 연례 컨퍼런스다. 로버트 오 두산 HoD(Head of Corporate Digital) 겸 DDI 부사장은 22일 ‘양자 및 ㅂ양자 보안 준비 가속화를 통한비즈니스 가치 창출’이라는 주제의 세션에 패널로 참여해 △퀀텀컴퓨팅 전문 인력 육성 프로젝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담당 임직원 대상 워크숍 개최 △ 대학 및 양자 전문 기업과의 협업 등 IBM 퀀텀 네트워크 파트너로 두산의 역할을 비롯해 퀀텀컴퓨팅 기술을 내재화하고 역량을 높이기 위한 사례
[더테크=전수연 기자]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이하 DDI)이 오는 28일 서울 중구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에서 ‘AI를 위한 보안, 보안을 위한 AI(AI for Security, Security for AI)’를 주제로 사이버보안 포럼을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DDI는 AI 기술을 활용해 점차 고도화되고 있는 사이버 공격 관련 기업 차원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특히 이달 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RSA Conference 2024에 참가해 얻은 글로벌 사이버보안 트렌드와 지난주 미국 보스턴에서 진행된 IBM Think 2024 행사에서 로버트 오 DDI 부사장과 모하마드 알리 IBM 컨설팅 수석 부회장의 패널 토의 내용도 포함된다. DDI는 최근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이버 공격도 지능·정교화돼 사전 탐지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특히 제조, 금융, 유통 등 다수의 기업이 AI를 활용한 딥페이크, 피싱, 랜섬웨어, 공급망 위협 등의 표적이 되고 있으며 공격 방식 또한 다양화되면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는 사이버보안·컨설팅 전문가가 연사로 나서 AI 기반의 사이버보안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IBM과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이 사이버 보안 대응력 강화를 위해 협력한다. 한국IBM은 16일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DDI)과 운영기술(Operational Technology, 이하 OT) 보안을 위해 다시 한번 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 2021년 보안 관련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OT 보안은 제조 산업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운영 시스템을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OT를 목표로 하는 공격이 급증하면서 화두가 되고 있다. IBM이 발표한 ‘2024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 산업은 지난 3년간 연속해서 가장 많은 표적이 된 산업군이다. 올해는 약 25.7%의 사이버 공격이 제조업을 향했다. 공장을 비롯한 현장에서 소프트웨어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에서 공격할 수 있는 루트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금융 산업에 집중되던 공격이 제조 산업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라는 보고서의 해석이다. 보고서에서는 2023년 기준으로 엑스포스가 대응한 공격의 69.6%는 핵심 기반 시설을 목표로 했다고 밝혔다. 제조 산업 및 기반 시설의 인프라의 경우 기업이 허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