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수산화리튬 비즈니스를 강화한다. IRA 법안으로 탈중국 움직임이 강화되면서 시장에서 쏟아지는 관심에 따른 결과로 회사는 2028년까지 생산 캐파를 확대할 계획이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11일 삼성SDI와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2033년까지 삼성SDI 국내 사업장과 헝가리 사업장에 15만4000톤 규모의 수산화리튬을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 2021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리튬을 정제·전환·분쇄해 이차전지용 수산화리튬 양산에 성공한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생산 물량을 에코프로비엠과 삼성SDI에 납품해왔다. 회사는 외판 물량을 확대하고자 해외 자동차 OEM과 이차전지 업체 등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최근 미국 IRA 법안으로 탈중국 움직임이 강화되면서 IRA 적합품 생산이 가능한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리튬 추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호주 리튬 업체 아이오니어와 미국에서 생산될 공업용 탄산리튬에 대한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리튬 광산 개발과 관련한 MOU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연구 개발이 완료되면 북미에 수산화리튬 전환 공장 건설을
[더테크 뉴스] 포스코홀딩스가 국내 강소기업과 리튬 생산공정 핵심부품 국산화에 성공해 사업경쟁력을 강화했다. 포스코홀딩스와 더블유스코프코리아(이하 WSK)는 14일 충북 오창 WSK 1공장에서 ‘리튬 생산용 전기투석막 공동개발 및 국산화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체결식은 이경섭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사업팀장(전무), 전영옥 WSK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업무협약에 따라 양사는 포스코홀딩스 수산화리튬 공장의 주요 부품인 전기투석막과 관련 장비의 국산화와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에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전기투석막은 포스코홀딩스 고유의 리튬 추출 기술에 적용되는 핵심부품으로, 국내 제조사가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품목이다. 양사는 지난 2021년부터 전기투석막 공동개발에 들어가 국산화에 성공해 오는 2024년부터 포스코홀딩스의 리튬 상용화 공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포스코, 이차전지 소재용 리튬생산공장 첫 준공) ‘포스코형’ 리튬 추출 기술은 전기투석을 적용하는 공법으로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막을 층층이 쌓아 전기 부하를 걸어 순도가 높은 수산화리튬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고 부원료 회수가 가능해 친환경적이며 유지
[더테크=전수연 기자] 포스코그룹(이하 포스코)이 다양한 글로벌 리튬 자원 개발을 통해 자체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포스코는 전남 율촌산업단지에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의 수산화리튬 공장과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Hyper NO) 공장을 준공했다고 29일 밝혔다. 포스코는 이번 수산화리튬 공장 준공으로 그룹 신성장 동력의 핵심인 이차전지소재사업의 주요 원료를 국내에서 첫 상업 생산하게 된다. 또 자사 기술력을 바탕으로 Hyper NO 공장을 증설해 글로벌 친환경차 소재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은 지난 2021년 포스코홀딩스와 호주 광산개발 회사인 필바라미네랄(Pillbara Minerals)가 합작해 만든 회사다. 이 회사는 2024년까지 호주 광석리튬 기반 연산 총 4만3000톤 규모의 이차전지소재용 수산화리튬 생산 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준공한 제1공장은 연산 2만1500톤 규모로 같은 규모의 제2공장은 2024년 준공 예정이다. 해당 공장에서는 수산화리튬 4만3000톤(전기차 약 100만대)을 생산할 수 있다. 포스코는 이날 포스코 광양제철소에 글로벌 친환경차 및 고급가전용 철강 수요 확대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