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현대자동차·기아는 27일 경기 고양시에 위치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웨어러블 로봇 테크데이’를 개최하고, 착용 로봇 ‘엑스블 숄더(X-ble Shoulder)’ 최초 공개와 함께 사업화 계획을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내년 상반기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24년 제조업 분야 근로자 평균연령은 43세로 지난 10년간 약 3.8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고령화로 인해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자수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로, 이는 근로자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이와 같은 산업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들의 근골격계 부담을 낮추고 궁극적으로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엑스블 숄더를 개발했다. 엑스블(X-ble)은 전력이 필요 없는 '근력 보상 모듈'을 적용해 어깨 관절 부하를 최대 60% 경감할 수 있다. 산업 현장에서 팔을 위로 올려 작업하는 ‘윗보기 작업’에 활용하면 사용자의 상완(어깨) 근력을 보조하여 근골격계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현동진
[더테크 이지영 기자]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이 휠체어에서 내릴 필요 없이 로봇이 직접 걸어와서 타인의 도움 없이 바로 착용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는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엔젤로보틱스 의장) 연구진이 하반신마비 장애인용 웨어러블 로봇의 새로운 버전, 워크온슈트 F1 (WalkON Suit F1)을 24일 공개했다. 워크온슈트는 연구팀이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하반신마비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이다. 이번 로봇은 하반신마비 중에서도 중증도가 가장 높은 ASIA-A(완전마비)레벨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현재 ㈜엔젤로보틱스의 상용화를 통해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재활치료 및 근력 보조 웨어러블 로봇과는 개발 목적이 다르다. 이번에 새로 공개한 워크온슈트 F1은 이러한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기술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 타인의 도움 없이 로봇을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후면 착용 방식이 아닌, 전면 착용 방식을 적용했다. 또한 로봇을 착용하기 전에는 마치 휴머노이드처럼 스스로 걸어와 착용자에게 다가온다. 무게중심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적용해서, 착용자가 로봇을 잘못 밀더라도 넘어
[더테크=전수연 기자] 최근 스마트 워치, 글래스 등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전자기기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부터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관리까지 헬스케어 산업이 확장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월 진행된 CES 2024에서 LG전자는 미래 먹거리 중 하나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국내 스타트업 발굴에 나선 바 있다. 또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단위 출하량은 5억2680만달러까지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이러한 헬스케어 산업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다양한 기기들이 포함된다. 우선 가장 보편화된 스마트 워치는 임베디드 시스템 휴대용 시계로 카메라, 음악, 심박수 확인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 스마트 글래스는 안경 내부에 증강현실을 구현해내는 기술로 구글글래스, 아마존의 에코 프래임 등이 대표적이다. 다양한 기업에서 개발 중인 기술부터 살펴보자면, 국내 멘탈 헬스케어 스타트업 돌봄드림은 스마트 의류 전문기업으로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해 감정 상태, 스트레스를 모니터링 하는 스마트 조끼를 개발하고 있다. 해당 조끼는 비접촉 센서,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착용자의 심리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고령자를 위한 AI 기반 보행 보조 웨어러블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개발에 나선다. KIST는 삼익THK와 AI 기반 웨어러블 고관절 복합체 근력 보조 로봇 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고 5일 밝혔다. 일상 보조 웨어러블 로봇은 노화, 근골격계 질환으로 보행 기능이 저하된 고령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기술이다. KIST에서 개발한 웨어러블 근력 보조 로봇은 착용자의 보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AI를 탑재해 계단, 평지, 경사 등 여러 보행환경에서 맞춤형으로 근력 보조가 가능하다. 또한 연구팀은 65세의 고령자가 이를 착용하고 북한산 영봉 정상에 오르는 북한산 챌린지를 통해 일상 환경에서의 웨어러블 로봇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했다. 이와 함께 해당 기술은 일상의 다양한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보행 근력 보조가 가능하다. 이에 KIST는 삼익THK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용화, 헬스케어 AI에 대한 공동연구를 통해 홈 재활, 일상 활동 지원 등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에 힘쓸 예정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착용자의 피부 상태에 영향 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전기 신호 측정이 가능한 근전도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 웨어러블 로봇 제어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카이스트는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김정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공동 연구를 통해 피부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품질 전기 생리 측정이 가능한 신축·접착성 마이크로니들 센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다양한 재활치료에 활용되는 웨어러블 로봇은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해서 몸에서 발생하는 근전도를 측정하는 전기 생리 센서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센서들은 시간에 따라 신호의 품질이 떨어지거나 피부의 털, 각질, 땀 등의 영향을 많이 받고 피부보다 단단한 물성으로 노이즈를 만들었다. 이번에 개발된 마이크로니들 센서는 잘 늘어나며 접착성이 있는전도성 기판에 피부 각질층을 통과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집적해 장기간 고품질의 근전도 측정이 가능하며 착용자의 피부 상태 변화에 상관업이 웨어러블 로봇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실리콘 중합체 기판에 마이크로니들을 집적해 센서를 제작했다. 각질층을 투과해 피부 접촉 저항을 효과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