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그룹이 장인화 회장 취임 100일을 맞아 타운홀미팅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장 회장은 소재분야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1일 포항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장인화 회장 취임과 함께 시작한 100일 현장동행을 마무리하고 7대 미래혁신과제 중간점검과 함께 포스코그룹이 만들어갈 미래 경영비전을 임직원들과 공유하는 ‘CEO 타운홀미팅’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장 회장은 “그룹 사업과 경영체제 및 조직문화 전반에 걸쳐 경쟁력과 신뢰를 회복하면서 한계를 넘어 과감히 혁신하고 미래를 향해 도전하자”며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및 신소재를 축으로 2030년 그룹 합산 매출액은 2배, 영업이익은 4배로 성장해 그룹 합산 시가총액 200조를 목표로 소재분야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자”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장 회장은 ‘7대 미래혁신과제’의 중간 성과와 향후 계획을 △철강 △이차전지소재 △신사업 발굴·사업회사 관리 △신뢰받는 경영체계·기업문화 총 4개 부분으로 나눠 발표하면서 ‘2030 소재분야 글로벌 최고 기업가치 달성’이라는 그룹 미래 비전도 제시했다. 철강 부분은 제조원가 개선과 판매 및 구매 경쟁력 제고로 230
[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그룹이 실리콘음극재 공장을 준공하고 차세대 이차전지소재사업의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은 최근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에 550톤 규모의 실리콘음극재(SiOx) 공장을 준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준공한 설비는 전체 생산라인 중 하공정에 해당한다. 회사는 고객사의 공급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조기 가동체제를 갖췄다. 실리콘음극재는 현재 리튬이온전지에 적용되는 흑연음극재보다 에너지밀도를 4배 가량높일 수 있어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 및 충전시간 단축이 가능한 차세대 음극재다. 연산 550톤은 전기차 27만5000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SNE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실리콘음극재 시장 규모는 현재 약 1만톤 수준이지만 2035년에 이르러 28만5000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그룹은 음극재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2년 실리콘음극재 스타트업인 테라테크노스를 인수해 포스코실리콘솔루션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지난해 4월 실리콘음극재 공장을 착공했다.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은 오는 9월 상공정을 포함해 종합 준공할 예정이며 2030년까지 연산 2만5000톤의 실리콘음극재
[더테크=문용필 기자] 포스코그룹과 SKC가 미래 이차전지 소재 사업 협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30일 서울 종로구 SKC 본사에서 ‘차세대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양사는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 음극 소재 공동개발과 소재 생산을 위한 공정기술 개발 등을 협업하게 됐다. 리튬메탈음극제의 경우, 동박 기술이 중요한데ㅜ SKC는 SK넥실리스를 통해 이차전지용 동박 시장에서 글로벌 선두를 달리는 기업이다. 포스코는 SKC와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를 가속화 할 예정이다. 앞서 포스코그룹은 지난 2017년부터 리튬메탈음극재 분야에서 선제적 연구개발에 나선 바 있다. 상용화 예정시기는 오는 2026년으로 잡혀있다. 양사는 이차전지소재 핵심 원료 공급에서도 협력한다. 동박의 원료인 구리 등 광물 트레이딩 경쟁력을 갖춘 포스코인터내셔널이 SKC와 함께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을 구축하는 등 공동 사업기회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사업 담당 자회사를 포함한 공동 실무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