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다음달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서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를 최초로 전격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Empower Every Possibility, Imagine Better Tomorrow (미래 가능성을 깨우고,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가는 LG에너지솔루션의 혁신 기술)’을 주제로 EV 및 Non-EV 분야의 다양한 혁신 배터리 기술을 공개한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로 불리는 46시리즈 셀 라인업을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한다. 기존 배터리 대비 에너지와 출력을 최소 5배 이상 높이며 향후 원통형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는 제품이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될 미국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Aptera Motors)’의 태양광 모빌리티 차량도 전시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앞서 1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 전시회 CES 2025에서 앱테라 모터스 공급 계획을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참가 기업 중 가장 큰 규모인 540m²(약 163평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 여러분께 한 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6월 4주차 ‘주간 Tech Point’는 엔비디아(NVIDIA)의 시가총액 1위 소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엔비디아는 18일(현지시간) 장 마감 기준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등극했습니다. 이날 엔비디아의 주식은 3.51% 오른 135.58달러로 마감해 약 3조3350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6일 애플을 제치고 2위를 기록한 엔비디아는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까지 넘어서며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으로 등극했습니다. 주요 외신들은 엔비디아의 시장 가치 급등이 AI에 대한 월스트리트의 열광을 상징한다고 전했습니다. 1993년 설립된 엔비디아는 2000년 전후로 지금은 AMD에 흡수된 ATI와 외장형 그래픽처리장치를 양분하는 제조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후 게임, 그래픽 디자인 분야의 전문기업이라고 알려졌습니다. 엔비디아가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은 2019년 시작된 코로나19 기간입니다. PC 수요와 함께 디지털 전환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 여러분께 한 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3월 2주차 ‘주간 Tech Point’는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 소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글로벌 18개국 569개 배터리 업체가 참여해 약 1896 부스로 꾸려졌습니다. 특히 전년 보다 규모가 크게 늘고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 해외기관에서도 참여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국내 기업 중 삼성SDI는 900Wh/L ASB(All Solid Battery)의 양산 준비 로드맵을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했습니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ASB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제 위험성을 줄이고 주행거리가 길어 배터리 업계에서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입니다. 삼성SDI는 현재 양산 중인 각형 배터리(P5)와 비교해 약 40% 향상된 에너지 밀도 900Wh/L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과 양산 준비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독자 조성한 고체 전해질 소재 개선과 무음극 기술을 통해 음극의 부피를 줄여 양극재를 추가하면서 업계 최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는 인터배터리 2024를 3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전관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인터배터리는 역대 최대규모인 전 세계 18개국 579개 업체가 1896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이번 전시화는 최신 배터리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는 ‘더배터리 컨퍼런스’와 대한민국 대표 EV 산업 전시회인 ‘EV트렌드 코리아’ 등이 동시 개최된다. 아울러 배터리 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잡페어’와 해외 배터리 산업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전기차 배터리 포럼’과 ‘영국 배터리 산업·투자 세미나’, ‘글로벌 광물세미나’ 등이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사진은 인터배터리와 공동 개최된 EV트렌드 코리아 부스의 모습으로 현대차, 기아, 금양, 한국요꼬가와전기, 슈나이더일렉트릭 코리아, LG전자, LG유플러스 등이 참여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는 인터배터리 2024를 3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전관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인터배터리는 역대 최대규모인 전 세계 18개국 579개 업체가 1896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이번 전시화는 최신 배터리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는 ‘더배터리 컨퍼런스’와 대한민국 대표 EV 산업 전시회인 ‘EV트렌드 코리아’ 등이 동시 개최된다. 아울러 배터리 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잡페어’와 해외 배터리 산업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전기차 배터리 포럼’과 ‘영국 배터리 산업·투자 세미나’, ‘글로벌 광물세미나’ 등이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사진은 인터배터리 2024 배터리 관련 업체의 부스 전경으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on, 포스코, 에코프로, LS일렉트릭, 한국쓰리엠 등이 참가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는 인터배터리 2024를 3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전관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인터배터리는 역대 최대규모인 전 세계 18개국 579개 업체가 1896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이번 전시화는 최신 배터리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는 ‘더배터리 컨퍼런스’와 대한민국 대표 EV 산업 전시회인 ‘EV트렌드 코리아’ 등이 동시 개최된다. 아울러 배터리 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잡페어’와 해외 배터리 산업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전기차 배터리 포럼’과 ‘영국 배터리 산업·투자 세미나’, ‘글로벌 광물세미나’ 등이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사진은 인터배터리 2024 전시회장 입구 및 잡 페어 배치도와 코엑스 복도까지 들어선 소규모 부스, 국가관의 모습이다.
[더테크=이지영 기자] 한국요꼬가와전기가 6일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에 참가해 배터리의 BMS 성능평가 및 배터리와 연계된 전력변환장치(PCS, 인버터)의 성능평가에 특화된 계측솔루션과 배터리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제품을 선보인다. 올해로 12회를 맞은 인터배터리 2024는 이번 전시회에서 전세계 18개국 579개 업체가 참여한다. 아울러 전시회 기간 중 배터리 활용 최대 수요처인 전기차 관련 전시회인 ‘EV 트렌드 코리아’도 동시에 개최된다. 한국요꼬가와전기는 이번 전시회에서 배터리 개발 및 제조 시 필요한 전력 분석기부터 오실로스코프까지 다양한 계측솔루션을 선보인다. EV용 부품 성능 평가 시에 필요한 EV 계측솔루션도 전시되는데 고정밀 전력 분석기 ‘WT5000’, 복합 신호 분석을 위한 ‘DL950’, 무선기록계 ‘SMART920’ 등 한국요꼬가와전기의 첨단 계측기들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아울러 산업 현장의 위험 요소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관리 기반의 IoT 무선 솔루션,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공정의 화재 예방에 특화된 광섬유 센서 솔루션, 열처리 생산 공정에서 정밀한 온도 제어 및 측정할 수 있는 솔루션도 선보인
[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그룹이 ‘인터배터리 2024’에서 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의 현재와 미래를 선보인다. 포스코그룹은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서 포스코홀딩스 주관으로 포스코,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퓨처엠을 아우르는 그룹 이차전지소재 Full Value Chain을 소개한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까지 그룹을 대표해 포스코퓨처엠이 양·음극재 사업을 중심으로 소개했지만, 올해부터는 포스코홀딩스 주도로 이차전지소재 원료생산 단계부터 기존보다 한층 더 영역을 확대했다. 포스코그룹은 올해 부스 규모를 전년 대비 약 30% 넓혔다. 그룹 이차전지소재 벨류체인의 구성과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순환하는 원형 구조의 모형과 영상용 미디어월을 부스 중앙에 핵심 전시물로 배치했다. 중앙 모형을 주변으로 리튬·니켈 등 이차전지소재 원료부터 양·음극재, 리사이클링, 차세대 이차전지소재 등 벨류체인 단계별로 상세 부스를 구성해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특히, 리튬 특별부스를 비중있게 준비했다. 이는 포스코그룹이 지난해 전남 율촌산업단지에 광석 리튬 기반 수산화리튬공장을 준공하고 아르헨티나 현지 염수리튬 기반 수산화리튬공장도 올해 상반기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