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카카오가 초거대 언어모델 ‘카나나 플래그 (Kanana Flag)’ 개발을 완료하면서 라마∙젬마 등 글로벌 AI 모델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는 자체 개발 언어모델 ‘Kanana’의 연구 성과를 담은 테크니컬 리포트를 아카이브에 공개했다. 이와 더불어 언어모델 라인업 중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Kanana Nano 2.1B’ 모델을 오픈소스로 깃허브에 배포했다. 테크니컬 리포트는 매개변수와 학습 방법, 학습 데이터 등 세부 사항을 담아낸 AI 논문이다. 카카오는 이번 리포트에 다양한 사이즈에 이르는 카나나 언어모델 전체의 Pre-training부터 Post-training까지 전 과정을 자세히 담았다. 카나나 모델의 구조, 학습 전략, 그리고 글로벌 벤치마크에서의 성과도 확인할 수 있다. ‘Kanana Flag’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한국어·영어 성능을 달성한 모델이다. 한국어 성능을 평가하는 ‘LogicKor’, ‘KMMLU’ 벤치마크에서 타 모델을 압도하는 처리 능력을 입증했다. 영어 성능을 평가하는 ‘MT-bench’, ‘MMLU’ 벤치마크에서는 경쟁 모델과 유사한 성과를 기록했다. 또한, 학습 자
[더테크 이승수 기자] 카카오는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OpenAI)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오픈AI의 기술로 이용자에게 최고 수준의 AI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 날 간담회에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Sam Altman)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해 양사의 협력 방향성을 공유했다. 오픈AI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것은 국내에서 카카오가 처음으로, 카카오와 오픈AI는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AI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신아 대표는 “오랜 기간 국민 다수의 일상을 함께 하며 축적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선보이는 것이 지금 시대 카카오의 역할"이라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오픈AI와 협력해 혁신적 고객경험을 제공함으로써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제휴 배경을 설명했다. 카카오와 오픈AI는 지난해 9월부터 ‘AI 서비스 대중화’라는 동일한 목표로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해 왔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카카오가 AI 네이티브 기업으로의 변신 과정과 언어모델, 멀티모달 등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카카오는 22일부터 24일까지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if(kakaoAI)2024’(이프카카오 AI 2024)를 개최하고 그룹의 기술 비전과 성취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카카오는 이번 컨퍼런스의 주제를 AI로 정하고, ‘모든 연결을 새롭게'라는 슬로건 아래 총 94개 세션을 선보인다. 절반 가량이 AI 관련 세션이며 그 외에도 데이터, 클라우드, 백엔드, 모바일 등 다양한 기술과 관련 지식을 참가자들과 공유한다. 기조연설에 나선 정신아 대표이사는 카카오의 AI 비전을 주제로 통합 AI 브랜드인 ‘카나나(Kanana)’에 대한 소개와 지향점, 생성형 AI 모델 라인업과 특징, 카카오그룹의 AI 기술 활용 현황 및 향후 계획, 안전한 AI 기술 활용을 위한 ‘Kakao AI Safety Initiative(이하 Kakao ASI)’ 등을 발표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의 핵심 경쟁력은 ‘관계의 연결’”이라며 “생성형 AI시대에도 카카오는 다양한 관계와 대화 속에서 개인의 맥락과 감정까지 고려하는 초개인화 AI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