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HL만도가 자율주행 기반 주차로봇의 실증 운영을 진행한다. HL만도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자율주행 기반 주차로봇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4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양사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올해 10월부터 발렛파킹 로봇 ‘파키(Parkie)’를 인천국제공항에서 실증 운영한다. 공항과 같은 대규모 공공시설에서 자율주행 주차 로봇을 적용하는 첫 번째 사례다. 완전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된 주차 로봇 ‘파키’는 장애물, 주행로, 번호파 인식을 비롯해 주차 차량의 형태와 무게 등을 스스로 감지하고 판단하는 발렛 주차 로봇이다. 기계식 주차 대비 최대 30% 주차 면적 축소가 가능하고 20%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공개된 파키는 차량 아래로 들어가 차체를 살짝 들어 올려 차를 운반하고 정해진 위치에 주차할 수 있다. 올해 초 열린 세계 최대 ICT 전시회인 CES 2024에서 자율주행 기술력과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혁신성을 인정받아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 HL만도는 인천국제공항에서 다양한 실증과 사용자 시나리오 검증이 ‘파키’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HL만도와 손잡고 자율주행 주차로봇의 기술 고도화와 상용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카카오모빌리티와 HL만도는 지난 13일 판교 넥스트 엠에서 ‘자율주행 주차로봇 서비스 사업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자율주행 주차로봇의 개발과 서비스 실증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HL만도의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를 기반으로 로봇 발레파킹이 접목된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를 개발하고 신규 시장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HL만도는 ‘파키’의 △상용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을 담당하고 카카오모빌리티는 주차장 내 자율주행 구현에 필요한 △디지털트윈 구축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 개발 및 운영 △카카오 T 플랫폼 연계 서비스 개발을 진행한다. HL만도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는 차량 하부로 진입해 차체를 들어 운반하고 정해진 위치에 주차하는 로봇이다. 자율주행 기술력과 주차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혁신성을 인정받아 CES에서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바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디지털트윈 구축 역량을 바탕으로 신규 서비스의 개발과 실증을 진행한다. 주차장 연계 서비스의 경우, 실제 주
[더테크=조재호 기자] HL만도와 HL클레무브가 CES 2024에 공동 참가한다. 만도는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를, HL클레무브는 휴대용 센서 ‘비틀’을 중심으로 일상 속 자율주행 주제로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HL그룹은 8일 EV 솔루션 전문기업 HL만도와 자율주행 전문기업 HL클레무브가 세계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 공동참가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CES 주제인 ‘이동하는 모든 것에 대한 상상력(Imagine Every Move)’을 CES 혁신상 수상 제품과 함께 일상 속 자율주행 기술을 통해 펼쳐낼 예정이다. HL만도는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파키(Parkie)’를 선보인다. 완전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 주차 로봇 파키는 장애물과 주행로, 번호판 인식을 시작으로 주차 차량의 크기, 무게,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최첨단 발렛 주차 로봇이다. 파키는 기계식 주차 대비 최대 30% 주차 면적 축소와 함께 20%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HL만도는 ‘일상 속 자율주행’을 위해 파키 시연 공간을 부스 내에 마련했다. 이와 함께 데이터 기반 차량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마이코사(MiCOSA)를 처음으로 대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