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로봇 상용화 나선 카카오-HL만도

카카오모빌리티의 디지털트윈과 관제기술, HL만도의 자율주행 주차로봇 만나 스마트 주차장으로
주차로봇 결합한 혁신 모빌리티 서비스 제시해 이용자 편의 확대하고 공간의 가치까지 높일 것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HL만도와 손잡고 자율주행 주차로봇의 기술 고도화와 상용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카카오모빌리티와 HL만도는 지난 13일 판교 넥스트 엠에서 ‘자율주행 주차로봇 서비스 사업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자율주행 주차로봇의 개발과 서비스 실증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HL만도의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를 기반으로 로봇 발레파킹이 접목된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를 개발하고 신규 시장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HL만도는 ‘파키’의 △상용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을 담당하고 카카오모빌리티는 주차장 내 자율주행 구현에 필요한 △디지털트윈 구축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 개발 및 운영 △카카오 T 플랫폼 연계 서비스 개발을 진행한다.

 

HL만도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는 차량 하부로 진입해 차체를 들어 운반하고 정해진 위치에 주차하는 로봇이다. 자율주행 기술력과 주차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혁신성을 인정받아 CES에서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바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디지털트윈 구축 역량을 바탕으로 신규 서비스의 개발과 실증을 진행한다. 주차장 연계 서비스의 경우, 실제 주차장에서 기술 실증을 진행하기에 물리적인 제약이 많았는데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하면 로봇 친화적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공간이나 해외에 있어 직접 방문이어려운 현장에 대해서도 사전에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해볼 수 있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주차장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거점인 중요한 인프라"라며“디지털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기술 상용화와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3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