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자율주행, DSP 도입해 車-인프라 융합해야”
[더테크=조재호 기자] 자율주행 글로벌 1등 전략으로 차량과 인프라를 융합하고 이를 이끌 주체로 민간 ‘주행사업자’를 도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제 경쟁력을 지닌 자동차와 반도체, 도로망, 무선 네트워크 분야를 융합하면 대한민국이 자율주행의 시대를 이끌어 나갈 최고의 환경을 가지고 있다는 의견이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자율주행 글로벌 1등, 그 길을 찾아서’를 주제로 2023년 자율주행 포럼을 개최했다. 김영기 한국공학한림원 자율주행위원장(서울대학교 객원교수)은 기조연설에서 “고속도로와 자동차, 반도체, 통신망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지리적 독립성이 있는 우리나라는 자율주행 분야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최고의 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동통신에서 주파수라는 공공재를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낸 경험을 토대로 자율주행도 민간 ‘주행사업자(Driving Services Provider, DSP)’ 도입으로 자동차와 인프라를 융합(Vehicle Infra, VI)하는 주체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포럼에서 주행사업자의 정의와 함께 도입 단계의 주요 이슈를 다룰 것이라고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