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미래차·시스템반도체 등 8대 신기술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에 605억원 지원

 

[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ATC+)’의 2022년도 신규과제 지원계획(188억원 내외)을 공고했다.

 

산업부는 금번 공고를 통해 오는 4월까지 ‘22년도 신규과제 수행기관을 모집한 후, 45개 과제를 새로이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45개 신규과제에 대한 총 지원예산은 188억원이며, 선정된 과제는 매년 4~5억원 내외의 연구개발비가 4년간 안정적으로 지원받게 됐다.

 

올해 신규 과제는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함께 향후 고성장이 기대되는 항공·우주 분야의 신기술 개발을 위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분야 이외에도 저탄소, 항공·우주분야에 대한 가점을 신설하여 해당 산업의 유망 중소·중견기업의 참여를 유도한다. 

 

이들 신규과제와 함께, 기존 2020년과 2021년 선정된 93개 계속과제에 대한 연구개발비로 417억원이 지원되는 등, 올 해 ATC+ 사업을 통해 지원될 총 지원예산은 138개 과제 대상 605억원이다. 

 

ATC+ 사업은 ‘우수기술연구센터사업(ATC)’의 후속사업으로서, 사업 시행 이후 탁월한 연구성과와 함께 중소중견 기업 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지속해 오고 있다. 

 

그 간 ATC 사업의 특허출원 건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균의 2배 이상이었으며, 연구성과의 사업화 성공율, 매출 및 고용증대 효과도 타 사업 대비 2~4배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ATC 사업 지원을 받은 전체 기업 중 20%가 넘는 기업이 상장기업으로 성장하였으며, 우리나라 세계일류상품(573개)의 18.2%(104개)를 ATC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ATC 사업의 우수한 연구성과는 기업연구소가 자체 성장전략에 따라 자유롭게 연구과제를 제안·수행하고, 정부는 필요한 연구개발비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지원(4~5년간, 총 20억원 내외)는 상향식(Bottom-up) 지원방식이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상모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우수기업연구소육성사업은 2003년 사업 시작 이후 우리나라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과 경쟁력 강화에 큰 역할을 해왔으며, 매년 5:1이 넘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기업들의 기대가 매우 큰 사업임”을 강조하고, “앞으로도 정부는 탄소중립, 항공·우주분야와 같이 미개척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강화하고, 기업의 자유롭고 도전적인 연구개발 환경 조성에 더욱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