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기업 중 64% 해외 공급망 활용

산업별로는 전기전자‧석유화학‧섬유류‧기계류 순

 

[더테크 뉴스]  우리 수출기업의 해외 공급망 중국 의존도가 평균적으로 총원부자재의 42%를 수입하고, 중소기업은 64%의 기업이 해외공급망을 통해 35%의 원부자재를 조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수출기업 해외 공급망 현황 및 영향 조사’에 따르면 이같이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해외경제연구소가 조사기관 하인리서치에 의뢰, 수출기업 542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1월 4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됐다.

 

대기업 중 69%가 해외공급망을 활용해 평균적으로 총원부자재의 42%를 수입하고, 중소기업은 64%의 기업이 해외공급망을 통해 35%의 원부자재를 조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전기전자(77%), 석유화학(71%), 섬유류(71%), 기계류(66%) 산업의 기업들이 해외공급망 활용도가 높고 문화컨텐츠(20%), 플랜트‧해외건설(44%), 해운(44%) 순이였다. 원부자재의 해외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자원개발(52%), 신재생에너지(51%), 섬유류(49%), 전기전자(42%) 등으로 나타난 반면 문화컨텐츠(25%), 선박(27%), 자동차(30%), 기계류(30%) 산업의 해외수입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출기업은 해외 공급망으로 중국(46%)을 가장 크게 활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일본(14%), 유럽(13%), 미국(11%), 동남아(11%) 순이였다.

 

대기업의 경우 중국(35%) 및 미국(8%)의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공급망이 편중되지 않은 반면 중소기업은 중국(47%)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대기업 대비 유럽(12%) 및 동남아(10%) 지역 등에서 공급망이 활성화되지 않았다.

 

지난해 공급망 악화로 수출기업 중 69%가 수출에 차질이 발생하여 2021년초 전망(55%)대비 더 많은 기업이 수출에 어려움은 겪는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섬유류(83%), 석유화학(77%), 자동차(73%), 신재생에너지(71%) 기업 중 70% 이상이 피해를 입었으며 해외건설(42%)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50% 이상 기업이 수출 차질을 겪었다. 

 

공급망 조달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76%), 중국(74%), 미국(72%)에 공급망을 둔 기업의 수출 차질이 가장 많았으며 일본(56%), 유럽(61%)에 주요 공급망이 있는 기업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 가운데 68%는 올해도 공급망 악화로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응 방안으로 ‘해외 공급망 모니터링 확대(36%)’나 ‘재고조정, 보험 등으로 위험 헤지(28%)’ 등 수동적 방식의 비중이 컸다. 

 

해외경제연구소는 "공급망 악화에 대한 대책이 없는 기업의 비중이 23%로 공급망 악화 장기화 및 심화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대기업 중에서도 25%가 공급망 악화에 대책이 없다”며 “그만큼 기업 차원의 대응이 쉽지 않다는 의미”라고 했다. 그러면서 “생산시설이나 거래망을 전환하는 등의 해결책은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거래망 전환에 대한 금융지원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