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산업부통상자원부가 실시한 에너지총조사 결과, 국내 에너지 소비가 연평균 1.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업종·용도별 에너지 소비 구조의 특성과 변화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1981년 이후 매 3년마다 에너지총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약 35,000개의 부문별 최종소비자 표본을 대상으로 ’19년 한 해 동안의 에너지 소비 현황을 2년간에 걸쳐 조사․분석했다.
2019년 우리나라 수요부문 전체 에너지소비는 2016년 215,419천toe 대비 연평균 1.7% 증가한 226,479천toe이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20311/art_16475898842363_37a30d.jpg)
산업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2016부터 2019년 기간 동안 연평균 1.6% 증가하였으며,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년 60.4%에서 2019년 60.2%로 소폭 하락했다.
산업부문 소비량의 대부분(95.8%)을 차지하는 제조업에서 원료용으로 소비되는 납사 등의 소비 증가로 에너지 소비가 증가했다.
수송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2016~2019년 기간 동안 연평균 2.7% 증가하였으며,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20.8%에서 2019년 21.4%로 소폭 상승했다.
원유․연료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송 실적의 증가로 운수업 모든 업종에서 에너지소비량이 증가했다.
상업․공공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2016~2019년 기간 동안 연평균 1.2% 증가하였으며,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9.2%에서 2019년 9.1%로 소폭 감소했다.
2016년에 비해 2019년 겨울철 난방용 수요가 따뜻한 기후의 영향으로 감소함에 따라 도시가스 소비량이 2016~2019년 기간 동안 연평균 1.4% 감소하여 전체 소비량 증가폭이 둔화됐다.
가정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2016~2019년 기간 동안 연평균 0.4% 증가하였으며,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9.6%에서 2019년 9.3%로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총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장기 에너지수요전망과 중장기 에너지정책 개발 등에 적극 활용하고, 공공기관의 정보를 국민과 함께 공유하고 이를 통해 소통의 폭을 넓히기 위해 에너지총조사를 통해 수집된 마이크로데이터를 공개해 기업, 연구기관, 일반국민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