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0일 미래 우주기술 교육·연구를 수행할 미래우주센터 설립 대학에 경상대학교, 부산대학교, 세종대학교, 인하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5곳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미래우주센터는 분야별로 우주 수송기술은 부산대, 우주 통신기술은 KAIST, 우주 탐사 및 자원 활용은 인하대가 선정됐다.
자유공모 분야는 고신뢰성 저비용 저궤도 위성군 소요 위성시스템 핵심기술 연구센터를 제안한 경상국립대학교가 미래 우주항법 및 위성기술 연구센터’를 제안한 세종대학교가 맡는다.
이번에 선정된 대학교들은 분야별 미래우주교육센터를 설립하고 석‧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미래 우주기술에 대한 집중 교육을 실시하여 국제적으로 우주분야를 이끌어 나갈 핵심 전문인력으로 양성한다.
또한 연구기관, 우주 산업체와 협력하여 현장 실무 교육 및 취업 지원도 연계하고, 국제적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협력 프로그램 등도 운영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에서는 센터별로 향후 5년간 연간 10억 원씩 총 5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번에 선정된 분야별 5개 대학교의 미래우주교육센터를 시작으로 미래 우주기술 분야에 대한 교육과 연구를 집중 지원하여 7대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 이라며 “향후에도 기업체 수요를 고려한 청년 일자리 창출 및 국내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우주분야 전문인력 양성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 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