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전기차용 이차전지 업체별 생산 능력. [자료=SNE리서치]](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20519/art_1652407851333_e57480.jpg)
[더테크 뉴스] 2030년 전세계 전기차용(ESS용 포함) 이차전지 업체의 총 생산능력은 2021년 994GWh에서 2030년 8,247GWh까지 연평균 27%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2030년 기준 CATL의 생산능력이 1,285GWh로 1위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LGES가 778GWh, Svolt 632GWh, CALB 619GWh, Guoxuan 523GWh, SK온 465GWh(공식 발표 생산 능력 500GWh), 삼성SDI 374GWh의 생산능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했다.
2030년 이차전지 업체의 국적별 이차전지 생산능력 비중은 중국업체(CATL, BYD, EVE, Farasis 등)가 63%로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 국적별 생산 능력 전망. [자료=SNE리서치]](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20519/art_16524083859878_3fc545.jpg)
한국업체(LGES, 삼성SDI, SK온)의 비중은 20%로 뒤를 이을 전망이다. Northvolt, Freyr, ACC 등 유럽 내 이차전지 업체들은 2025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며 2030년 생산능력 비중에서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10년 안에 새롭게 전기차 시장에 뛰어드는 이차전지 업체의 수가 굉장히 많다”며 “양산 경험이 많은 한중일의 티어1 업체들을 제외하면 양산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