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초고성능컴퓨팅센터 선정...초격차 전략기술 육성

 

[더테크 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일 국가초고성능컴퓨팅위원회를 개최하고 7개의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센터(이하 전문센터) 지정안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세계 각국은 초고성능컴퓨터를 과학기술·경제·사회 전반의 혁신을 지원하는 신사회간접자본으로 인식하고, 정부뿐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도 초고성능컴퓨팅 자원과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초고성능컴퓨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초연결 과학기술 인프라 중 하나로 ‘초고성능컴퓨팅 자원의 연계와 확대’를 국정과제로 채택했다.

 

우리나라의 초고성능컴퓨팅 자원 현황은 TOP 500에 선정된 초고성능컴퓨터가 6대(보유대수 점유율은 1.2%), 성능 총합은 83.7페타플롭스(500대의 성능 총합 4403페타플롭스 중 점유율 1.9%)에 불과해 경제 및 연구개발 투자 규모 대비 자원 경쟁력이 낮은 수준이다.

 

기상청 및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를 제외한 초고성능컴퓨팅 운영 기관도 일부에 불과하고, 자원 운용도 개별 기관 단위에 머물러 있어 전반적인 활용체계도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의 한정된 초고성능컴퓨터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공동활용체계를 구축·운영하고자 사업·연구를 수행하는 기업 등이 공동활용체계에 참여하도록 하고, 필요시 관련 기관에 자료 및 정보 제출을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연계하여 기상, 생명․보건, 소재 등 초고성능컴퓨터 집중 활용 분야에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할 전문센터 7개 기관(7개 분야별 1개 기관씩)을 선정·공고했다.

 

이번에 선정된 기관들은 분야별 특화된 자원의 구축·운영 및 전문화된 서비스 제공, 관련 기반·응용 연구 및 연구 성과의 확산, 데이터 관리·운영 지원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초고성능컴퓨팅 자원의 공동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전문센터의 역량 고도화 및 센터간 연계 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프로세서 등 자체 부품 기반의 초고성능컴퓨팅 시스템 독자 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공공혁신조달·민간협력 및 기술이전을 통해 초고성능컴퓨터 초기시장 창출을 지원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남들 보다 한발 앞선 혁신적 성과 창출을 가능케 하는 초고성능컴퓨터는 이제 핵심 연구인프라로서의 가치를 넘어 또 하나의 전략기술 자산이 되고 있다’면서, ‘초고성능컴퓨팅 개발․활용 관련 생태계 고도화를 통한 초격차 전략기술 육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