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기업 60% 고금리 피해...설비투자 지연"

 

[더테크 뉴스]  대구에서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A 사는 “1 년 전부터 전기차부품 생산을 위해 설비투자를 하고 있는데 고금리 폭탄을 맞아 이자상환도 버거운 상황이다"며 "상환 부담이 커져서 신규투자를 줄이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현재 적용받는 금리가 6% 수준인데, 신규대출에 대해서는 3% 이하 수준이 되어야 설비투자를 지속해나갈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부산의 조선업체  B 사는 "업종 특성상 차입 비중이 높아 저금리 정책자금을 활용하는데 자금수요에 비해 저금리 대출한도가 부족한 상황이다"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은행에서 중견기업 대상 대출한도를 줄이는 등 자금조달 여건이 점점 더 까다로워지고 있다” 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7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금리인상의 영향과 기업의 대응실태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1.2% 가 고금리로 실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 '어려움이 매우 많다'고 답한 기업도 26.7% 였으며 ‘어려움 없다’ 고 답한 기업은 12.7%에 불과했다 .

 

기업들이 현재 영업이익과 지출되는 생산·운영비용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수익을 실현하기 위해 감내할 수 있는 기준금리 수준은 ‘2.91%’로 집계됐다. 3.00% 를 꼽은 기업이 41.7%로 가장 많았으나 현재 금리수준인 2.50% 를 꼽은 기업도 23.1%에 달했다. 전체 응답결과의 가중평균값은  2.91% 였다. 

 

최근 급등한 원자재가 환율 등에 따른 고비용 경제구조 속에서 이자비용 부담까지 떠안은 기업들의 위기감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현재 기준금리 (2.50%) 수준에서도 시중 대출금리가 5~6%를 넘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기준금리가 3.00%를 넘어서면 시중금리는 7∼8% 이상이 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고금리 피해가 현실화됨에도 불구하고 기업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한 기업은 20.2%에 불과했다. 특히 중소기업은 10곳 중 1 곳만이 “대응책을 마련 중” 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이 마련 중인 대책은 비용절감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과 고정금리로의 전환, 대출금 상환유예 순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물가와 환율 안정을 위해 선제적인 통화정책이 불가피하지만 그 결과가 기업의 부담이 되고 기업활동 위축으로 이어지는 딜레마 상황이다"며 "코로나 이후 사업재편 과 신규사업 투자에 적극 나선 기업이나 신용도가 높지 않은 중소 중견기업들이 체감하는 채무부담이 더욱 큰 만큼 건실한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고비용 경제상황 극복을 위한 지원방안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