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제조업 서비스화, 중국의 70% 수준"

 

[더테크 뉴스] 수출상품 제조과정에 투입된 서비스의 비중이 주요 5개국 중 한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1일 ‘제조업의 서비스화 사례와 우리 기업의 혁신 전략’ 보고서를 통해 이와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제조업의 생산 전방-공정-후방 등 가치사슬 단계별로 글로벌 기업들의 제조 서비스화 현황을 분석했다.

 

국가별 제조서비스 기업의 비중을 살펴보면, 독일(48.0%), 미국(22.6%), 일본(17.6%)로 모두 한국(15.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서비스화란, 기획-생산-유통-판매-유지보수 등 제조 전 과정에서 서비스를 부가하거나 신규 서비스를 파생시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출 상품의 제조 과정에서 투입된 서비스의 비중도 한국은 27.9%로 독일(36.5%), 일본(30.4%), 중국(29.7%), 미국(28.2%) 등 주요 5개국 중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업 수출로 인한 서비스 생산유발효과도 한국(0.30)은 중국(0.44), 미국(0.38), 일본(0.37), 독일(0.36)보다 뒤처졌다. 제조업 수출의 서비스 부가가치유발효과도 한국(0.15)은 미국(0.23), 중국(0.23), 일본(0.22), 독일(0.19)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우리 제조업의 서비스화 전략으로 ▲대-중소기업 간 기술 매칭 촉진 ▲스타트업 테스트베드 활성화 ▲원천기술·솔루션 개발 지원 ▲스마트제조 국제표준화 참여 ▲제조 서비스화 관련 통계 인프라 정비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제시했다. 

 

맥킨지에 따르면, 개인화는 소비자의 친밀감을 높여 기업 매출액을 10~15% 가량 상승시키 데이터 활용을 극대화할수록 수익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보고서는 “우리나라는 중앙정부 주도, 양적 보급 중심, 개별 기업 대상의 직접지원 중심이라는 점에서 해외 제조 강국과 지원 패러다임의 차이가 있다”면서 “제품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때 수출 효과도 증대되는 만큼, 우리나라도 제조 서비스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