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올해 R&D 예산 5.7조원 역대 최대규모"

전년대비 2.3% 증가...역동적 혁신성장 실현
반도체·이차전지 등 전략산업 집중

 

[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연구개발(R&D) 사업에 역대 최대규모인 5조6711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반도체, 이차전지, DX, 로봇 등 전략·주력산업 초격차 확보와 공급망 안정에 집중 계획이다. 

 

산업부는 2일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산하 기관과 산업부 소관 280개 연구개발 사업의 상세 추진계획을 담은 2023년도 산업기술혁신산업 통합시행계획을 공고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반도체, 이차전지, 첨단 바이오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 분야에서의 미래전략기술 개발을 위해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에 743억원, 주력산업의 데이터 수집·처리에 필요한 센서 기술개발을 위한 'k-sensor 기술개발사업'에 277억원을 편성했다. 

또 혁신인재 양성을 위해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에 1356억원, '에너지인력양성사업'에 504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반도체 분야 고급 전문인력양성을 위해 '민관 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사업'에 100억원을 신규 배정했다.

산업공급망 안정화에는 1조4958억원을 들여 핵심 소재의 자립화,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도모한다.
    
수요연계형 R&D 확산, 소재·부품의 해외의존도 완화, 핵심장비의 원천기술 확보 등 소부장 분야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해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에 9375억원,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1864억원,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 1538억원 등을 투입한다.

 

산업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고 저탄소 제조 혁신 지원을 통한 ‘주력산업의 고도화’ 지원도 강화한다. 디지털 기술의 접목으로 주력산업 생산성·부가가치 혁신을 위해 제조현장의 로봇 개발·보급 등 생산 공정 최적화, 가상 협업공장 구축 등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로봇산업기술개발' 1069억원,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1186억원, 'DX한걸음프로젝트' 83억원, ‘디지털협업공정구축기술개발’ 50억원(신규) 등을 편성했다.

 

탄소중립 한계기술 돌파 및 제조업 저탄소 가속화를 위해 4대 다배출 업종별 최적 감축기술 및 기업 수요기반 현장형 탄소중립 기술개발을 신규로 착수한 산업부는 오는 2030년까지 9352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산업부는 차세대 원전 혁신기술 개발 지원 등을 통한 원전 생태계 복원 가속화를 위해 ‘원전해체경쟁력강화기술개발사업’(2023~2030년 간, 2660억원), 혁신형소형모듈기술개발사업'(’2023~2028년 간 총 2747억원)에 본격 착수한다. 원전 안전성 향상 및 핵심 부품·기자재의 혁신기술개발을 위한 지원도 강화 계획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