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서명수 기자] SK텔레콤이 통신사업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와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목표로 조직을 전면 개편했다.
13일 SK텔레콤은 ‘MNO’와 ‘AI’ 양대 CIC 체제를 중심으로 한 조직개편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고객 신뢰 회복과 함께 AI 중심의 성장 전략을 본격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정재헌 SKT CEO는 “CIC 체제는 MNO와 AI 각 사업의 특성에 맞춰 최적화된 업무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기 위한 선택”이라며, “이를 통해 통신사업의 고객 신뢰를 되찾고, AI 사업에서는 실질적 성과를 창출해내겠다”고 강조했다.
MNO CIC(한명진 CIC장)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능 통합에 나선다.
상품·서비스 중심으로 마케팅과 영업조직을 재편해 통신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B2B(기업) 사업은 기술 지원 조직을 전진 배치해 솔루션 경쟁력을 강화한다.
또한 네트워크 부문은 인프라(Infra) 중심의 AT/DT 실행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해,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조직의 실행력을 높일 방침이다.
지난 9월 출범한 AI CIC(정석근·유경상 CIC장)는 ‘공동 CIC장’ 체제를 중심으로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에 집중한다.
팀 단위 조직을 수시로 재편할 수 있는 프로젝트형 구조로 운영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사업 영역은 ▲에이닷(A.) 중심의 B2C AI ▲인더스트리얼 AI·데이터플랫폼·AI 클라우드·피지컬 AI를 포함한 B2B AI ▲메시징, 인증, 페이먼트 중심의 디지털 플랫폼 ▲데이터센터를 총괄하는 AI DC 등으로 세분화된다.
기술 조직 또한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을 담당하는 ‘플랫폼’, 파운데이션 모델을 담당하는 ‘AI 모델’ 부문으로 개편해 AI 기술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
양대 CIC를 지원하는 스태프 조직은 현업 밀착형 전문가 조직으로 개편됐다. 통합보안센터는 인력과 조직을 확대해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대외협력과 홍보 기능을 통합한 ‘Comm센터’를 신설했다.
또한 주요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GC센터’를 신설하고, CFO 기능을 전략 기능과 통합한 ‘Corporate센터’로 재편했다.
이번 임원 인사는 ‘책임경영’을 위한 리더십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 SK텔레콤은 실행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중심으로 임원을 선임했으며, 조직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임원 규모를 ‘강소화(强少化)’했다고 밝혔다. 향후에는 경영 환경 변화에 맞춰 수시 인사를 통해 효율적 조직 운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조직개편과 인사를 통해 통신 영역에서의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AI 컴퍼니’ 전환 가속화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