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채널코퍼레이션은 올인원 비즈 메신저 채널톡 서비스 만족도 향상 및 개선을 위해 유료 서비스 구독 고객을 대상으로 매월 '고객 만족도 서베이'를 실시한다고 9일 전했다. 작년 6월 테스트 기간을 거쳐 8월부터 정식으로 진행된 서베이는 채널톡 유료 구독 서비스 이용 고객 중 온라인 자사몰 월 방문자 수가 8000명 이상인 고객들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87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뤄졌으며 평균 응답률은 8.5%로, 가장 최근에는 10%의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채널톡은 직접 피드백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 만족도, 열정을 보여주는 지표인 순수 추천고객 지수(Net Promoter Score, NPS)와 프로덕트 마켓 핏(Product/market fit, PMF)지수를 통해 고객과 브랜드의 관계를 점검한다. 이를 위해 단기, 장기 고객으로 그룹을 세분화한 후 매달 하나의 그룹에 한 가지 질문을 전송해 그룹별 피드백을 수집, 다양한 고객들이 전하는 개선 의견을 듣고 있다. 현재까지 만족도 조사에서 친구나 동료에게 채널톡의 유료 구독을 추천하고 싶은지 묻는 질문에 대해 NPS 최고 점수는 7점을 기록했다. 이는 -100부터 10
[더테크 뉴스] 코드스테이츠는 핵심 교육 역량을 알리고, 커리어 전환을 희망하는 고객들과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 대규모 브랜드 캠페인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캠페인 메인 메시지는 “코딩만큼은 코드스테이츠”다. 코드스테이츠는 사업의 근간이자 가장 대표적인 부트캠프 교육 분야를 간결한 문구로 언급하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조했다. ‘나의 잠재력을 푸는 코드’라는 슬로건을 통해 누구나 사회적·경제적 제약 없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는 기업 비전도 담았다. 캠페인으로 총 3가지 핵심 교육 역량을 표현하는 점도 눈에 띈다. 코드스테이츠는 자기주도적 학습, 실전지향 커리큘럼, 평생관리 커뮤니티 등 자사 부트캠프 주요 강점들을 ‘탄탄하게’, ‘실전처럼’, ‘끈끈하게’ 등 짧은 키워드를 통해 강조했다. 이번 브랜드 캠페인은 약 2개월여간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해 전방위적으로 전개된다. 코드스테이츠는 옥외 광고를 통해 캠페인을 먼저 선보였다. 지난 1일부터 서울 일대 유동인구가 많은 환승역과 주요 역사를 중심으로 총 13개의 지하철역 스크린도어에서 광고가 송출되고 있다. 강남권과 광화문 일대의 21개 버스 정류소에서도 활발하게 브랜드 광고 캠페인이
[더테크 뉴스] 포티넷 코리아는 9일 3년 연속 엔터프라이즈 유선 및 무선 LAN 인프라 부문 ‘2022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비저너리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포티넷은 이러한 결과가 포티스위치(FortiSwitch) 및 포티AP(FortiAP)를 포함한 유/무선 LAN 포트폴리오의 강점을 비롯해, AI 기반의 실시간 사이버 리스크 가시성, 추가 라이선스 비용 없이 통합 제공되는 보안 기능, 포티가드 위협 인텔리전스와 유선/무선 플랫폼 통합을 통한 원활한 디지털 전환 지원 등의 여러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포티넷의 유/무선 LAN 포트폴리오는 보안 중심 네트워킹(Security-driven Networking) 접근방식을 적용해 고객들이 포티게이트(FortiGate) 차세대 방화벽과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합해 네트워크 인프라와 보안 아키텍처를 긴밀하게 구축 및 운영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새로운 사이버 위험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보다 용이하게 새로운 디지털 혁신 결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포티넷 유/무선 LAN 포트폴리오와 FortiAOps 간 통합으로 LAN, 무선 LAN과 WAN 전반에서
[더테크 뉴스] 셀바스AI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2023 AI바우처 지원사업’의 수요기업을 모집한다고 9일 밝혔다. AI 솔루션 도입이 필요한 국내 중소벤처 및 중견기업, 의료법상 의료기관 등의 수요기업들은 AI바우처 지원사업을 통해 최대 3억 원 규모까지 공급기업의 솔루션을 구매해 디지털 전환에 사용할 수 있다. 신청 기한은 이달 30일까지이며, 16일부터 접수가 가능하다. 셀바스AI는 지원사업 시행 이후 계속 AI바우처 공급기업으로 참여 중이며, 매년 수요기업과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AI 바우처 수행 경험 및 다양한 분야의 사업화, 제품화 경험을 토대로 AI솔루션 도입 필요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핵심 인공지능 솔루션을 공급할 예정이다. 셀바스AI가 AI바우처 지원사업으로 공급 예정인 인공지능 기술은 ▲음성인식(Selvy STT) ▲음성합성(Selvy TTS) ▲필기인식(Selvy PEN) ▲광학문자인식(Selvy OCR) ▲헬스케어 솔루션(Selvy Checkup, OnFit) ▲에듀테크(Edu-tech) 솔루션 등이다. 셀바스AI AI바우처 사업담당 김경채 매니저는 “기업 대
[더테크 뉴스] 앤시스코리아는 9일 본사가 글로벌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및 과학 소프트웨어 기업 로키(Rocky DEM, S.L.)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앤시스는 이번 인수를 통해 로키의 선도적인 DEM(Discrete Element Method, 이산 요소법) 솔루션을 앤시스 솔루션에 통합했으며, 브라질과 스페인, 미국의 전문 개발자 그룹, 애플리케이션 지원 엔지니어 및 고객 대응 팀을 더욱 강화했다. 이번 인수는 2023년 앤시스의 연결재무제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로키는 오랜 기간 동안 앤시스의 채널 파트너로 협력해온 ESSS(Engineering Simulation and Scientific Software)의 자회사였으며, 이산 역학 문제를 모델링하는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자들로 구성돼 있다. 앤시스의 로키 인수는 지난 2021년 발표된 양사의 장기적인 파트너십과 공동 입자 모델링 워크플로우(joint particle modeling workflow)에서 시작됐다. 로키의 DEM은 해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GPU 컴퓨팅의 강점은 물론, 다중 물리(multiphysics) 시뮬레이션에 다양한 입자 형상 및 크기 분포를
[더테크 뉴스] 웹케시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심사하는 ‘정보보호 관리체계(이하 ISMS)’ 인증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ISMS는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기업이 주요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정보보호 관리 절차와 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관리하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공동 고시 기준에 따라 KISA에서 인증한다. ISMS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16개) ▲보호 대책 요구사항(64개) 등 총 80개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웹케시는 80개 기준을 모두 충족해 ‘경리나라(AI경리나라)’, ‘텍스빌365’ 및 웹케시 홈페이지에 대한 ISMS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 획득으로 웹케시는 이용 고객에 대한 보안 서비스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강화해 보다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강원주 웹케시 대표는 “이번 ISMS 인증으로 경리나라와 택스빌365 이용 고객들이 안전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안 기능을 더욱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웹케시는 정보보호를 최우선
[더테크 뉴스] 라이프시맨틱스이 ‘CES 2023’에서 선보인 호흡재활 디지털치료기기 ‘레드필 숨튼’가 큰 관심을 받았다. 라이프시맨틱스는 CES 2023 유레카파크에 마련된 부스가 개막 첫날부터 레드필 숨튼을 직접 체험해보기 위해 방문한 글로벌 헬스케어 관계자, 바이어, 외신 기자 등으로 붐볐다고 9일 밝혔다.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전세계적으로 호흡기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국내 최초의 호흡재활 분야 처방형 디지털치료제로 확증 임상을 승인받은 레드필 숨튼을 직접 경험해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부스를 찾았다. 라이프시맨틱스 부스에 방문한 한 업계 관계자는 “산소포화도, 심박수 등을 분석해 운동중단 및 재개 여부를 알려주고 의료진에게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기능이 인상 깊었다”며 “미국에도 호흡기 환자가 많지만 장비, 의료진 부족 등으로 양질의 재활치료를 받기는 쉽지 않은데 레드필 숨튼이 상용화되면 활용도가 높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 헬스케어 바이어는 “65세 이상 사용자를 위한 음성 가이드 서비스는 디지털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에게 꼭 필요한 기능인 것 같다”며 “운동일지, 영양관리, 통증관리, 부작용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해 의료진이
[더테크 뉴스] LG디스플레이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CES 2023’ 모빌리티 기술 전시관인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웨스트홀에 처음으로 전용 부스를 마련하고, 5일(현지시간) 부스를 공개했다. 이날 LG디스플레이는 독자 기술을 적용한 차량용 OLED와 LTPS(저온다결정실리콘) LCD 기반의 초대형, 저전력, 초고휘도 기술 등 차별화된 라인업을 소개했다. 또 화면이 확장되는 ‘차량용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도 업계 최초로 공개하는 등 혁신 기술로 시장 격차 확대와 위상을 더욱 강화한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OLED 분야에서 차별화 기술인 탠덤(Tandem) OLED에 역량을 집중한다. 탠덤 OLED란 유기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는 방식으로, 기존 1개 층 방식 대비 고휘도, 장수명 등 내구성이 뛰어나다. LG디스플레이가 2019년 최초 양산에 성공했다. 올해부터는 ‘2세대 탠덤 OLED’ 양산에 돌입한다. 유기발광 소자의 효율을 개선해 휘도와 수명을 높였으며, 소비전력도 기존 대비 약 40% 저감한 것이 특징이다. 탠덤 OLED를 탄성있는 플라스틱 기판에 결합한 것이 LG디스플레이의 차량용 P-OL
[더테크 뉴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과 통일연구원은 6일 KISTI 서울분원에서 ‘북한·통일 연구목적형 디지털 기반 지식공유체제 구축과 AI-데이터 기반의 융합연구 수행’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KISTI의 데이터 기반 지식 시스템과 통일연구원의 북한 및 통일 분야 연구 역량을 융합 활용해 북한·통일 연구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식공유 체제를 구축하고 확산함으로써 통일 미래를 준비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북한·통일 관련 ▲지식 공유체제의 플랫폼화 추진 및 콘텐츠 개발, 운영 ▲지식 공유체제 활용 공동 연구 수행 ▲데이터 분석적 연구의 발전과 성과 확산을 위한 인적 교류 및 세미나/학술회의 개최 ▲지식 공유체제의 단계적 발전 및 북한 연구자 대상 플랫폼 전환 방안 수립 등에 상호 협력할 것을 합의했다. 북한·통일 연구 관련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지식 공유체제 구축 및 운영을 위해 KISTI는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사용자 관리 등 정보인프라 부분을 지원하고, 통일연구원은 연구데이터 업데이트 및 지속적인 운영 환경을 조성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또
[더테크 뉴스] 포스코가 최대 7000억 원 규모의 원화 무보증사채 발행에 성공했다. 포스코가 3500억 원 규모의 무보증사채 발행을 앞두고 5일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모집금액 9배에 달하는 3조 9700억 원의 매수 주문이 몰렸다. 2년물 500억 원 모집에 9000억 원, 3년물 2000억 원 모집에 2조 1150억 원, 5년물 1000억 원 모집에 9550억 원의 주문이 들어왔다. 이는 2012년도 국내 회사채 발행 수요예측 제도 도입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이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급격한 글로벌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심화된 상황에서도 채권발행에 성공한 것으로 포스코 채권이 우량채권임을 인정받았다. 특히, 포스코가 포항제철소 침수피해를 조속히 복구하고 정상적인 제품 공급체계를 갖춘 시점에 대규모 채권발행에 성공함으로써 투자자들로부터 포스코에 대한 신뢰가 확인되었다. 포스코는 지난해 9월 냉천범람에 따른 포항제철소 침수로 생산 차질이 발생했으나 전 임직원이 총력을 다해 복구작업을 펼친 끝에 지난 12월 15일 포항제철소 핵심 2열연공장을 재가동하는 등 연내에 철강공급을 정상화했다. 포스코는 채권발행에 앞서 한국기업평가 및 한국신용평가로부터
[더테크 뉴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발표한 <2022년 10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에 따르면, 2022년 10월 공작기계 수주는 2395억 원으로 전월 대비 2.9% 감소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8.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수주는 773억 원으로 전월 대비 18.3% 감소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10.0% 감소했다. 수출수주는 1622억 원으로 전월 대비 6.7%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8.0% 감소했다. 2022년 1~10월 공작기계 수주는 2조 626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8.4% 줄었다. 내수수주는 1조 9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감소했으며, 수출수주는 1조 617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NC절삭기계(2344억 원, -2.2%), 범용절삭기계(33억 원, -29.7%), 성형기계(18억 원, -23.7%) 모두 전월 대비 감소했다. 특히 NC선반(1123억 원, -4.6%), 프레스(12억 원, -29.3%)는 전월 보다 감소한 반면, 머시닝센터(1013억 원, +8.4%)는 전월 대비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업종의 245억 원으로 전월 대비 31.2% 감소했으며 전
[더테크 뉴스] 유기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소재부품 전문기업 클랩(CLAP)은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CES 2023’에 참가해 유기반도체 재료 기반의 유기박막트랜지스터(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TFT) 응용 시제품을 전시한다고 밝혔다. 클랩은 독일 BASF로부터 OTFT 재료 원천 특허와 기술을 인수한 이후, 자체적으로 유기반도체 연구 Fab을 갖추고 재료 합성에서부터 응용 제품 설계 및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응용제품 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사업협력 파트너십도 구축해가고 있다. OTFT는 고가의 증착 장비 없이 다양한 코팅 공정으로 저렴하게 소자를 제작하는 장점이 있고, 저온 공정(120℃ 이하)에서 PET, COP, PEN등 플라스틱 필름상에 소자 제작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휘거나 쉽게 깨지지 않는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차세대 TFT이다. 유연한 기능이 요구되는 제품군의 구동 기판으로서 OTFT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유연한 특성 외에 Bendable, Rollable, Wearable 등 다양한 폼팩터 및 IoT 인스트럭처를 위한 다양한 센서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