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2025.07.07 (월)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 로그인

더테크 (THE TECH) - 대한민국 대표 블루오션 테크 미디어

THE TECH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이슈
  • 현장
  • 피플
  • 오피니언
메뉴
기사검색
닫기
검색창 열기
  • CATEGORY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멀티미디어

    • 포토뉴스
    • 영상뉴스
  • 독자 · 소통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올거나이즈,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활용해 기업 맞춤형 앱 개발

    [더테크=조명의 기자] 올거나이즈가 네이버클라우드와 손잡고 초대규모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국내 기업에 최적화된 업무용 앱 개발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하이퍼 클로바X 탑재한 네이버의 AI 수익화 전략은?) 올거나이즈는 네이버클라우드와 LLM(거대언어모델) 플랫폼 사업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를 '알리 LLM 플랫폼'에 연동하고, 공동 마케팅 및 사업 확대 방안을 모색한다. 기업 고객들은 한국 문화와 언어 맥락을 가장 잘 이해하는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알리 LLM 플랫폼 안에서 기업 맞춤형 업무용 툴을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다. 알리 LLM 플랫폼은 오픈소스 LLM을 자유롭게 선택해 기업 맞춤형 앱을 쉽게 제작하고, 이를 활용해 기업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LLM 올인원 솔루션이다. ‘알리 LLM 앱 빌더'를 활용해 개발 지식 없이도 노코드 형태로 보고서 요약, 데이터 시각화, 생산성 분석 등을 효율화하는 기업 맞춤형 앱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원하는 앱을 골라 현업에 바로 적용하는 '알리 LLM 앱마켓'도 출시했다. 올거나이즈는 이번 협약을 통

    • 조명의 기자
    • 2023-09-13 11:15
  • 업스테이지-롯데쇼핑, 유통 특화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 협력

    [더테크=조명의 기자] 업스테이지가 롯데쇼핑과 유통 특화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을 위해 힘을 모은다. 업스테이지는 12일 롯데쇼핑과 ‘생성형 AI 상호업무협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향후 생성형 AI를 활용한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고, 유통업계 특화 AI 개발을 위해 협력을 강화한다. 롯데쇼핑은 내부 인프라를 활용해 사업모델 개발 및 운영을 지원하고, 업스테이지는 생성형 AI 관련 기술 자문 및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롯데쇼핑은 업스테이지 ‘1T 클럽’에 참여해 고품질 한국어 거대언어모델(LLM) 구축을 통한 국내 LLM 독립 생태계 조성에 협력한다. 이에 앞서 두 회사는 롯데온에 지난 6월 2년 간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개인화된 AI 상품 추천 서비스를 도입, 고객의 세분화된 관심사와 취향 맞춤의 ‘초개인화’ AI 추천 기술을 적용 중이다. 추천 AI 도입 후 롯데온의 구매 전환율은 1월에 실시한 테스트에 비해 30% 증가하는 효과를 거뒀다. 앞으로 업스테이지는 유통을 넘어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한 프라이빗 LLM을 통해 AI 혁신을 선도할 계획이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롯데쇼핑과 유

    • 조명의 기자
    • 2023-09-12 16:44
  • 삼성SDS 가세한 B2B AI 시장, 경쟁 가열된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삼성SDS가 기업의 업무 생산성을 개선할 ‘하이퍼오토메이션(HyperAutomation)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생성형 AI를 탑재한 B2B 서비스 출시를 알렸다. 챗GPT가 문을 연 AI의 시대에서 엔터프라이즈형 서비스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삼성SDS는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리얼 서밋(REAL Summit) 2023’을 12일 개최했다. 행사장에서 삼성 SDS는 생성형AI를 활용한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과 클라우드에 생성형 AI 결합한 플랫폼 '패브릭스(FabriX)'를 발표했다. 삼성 관계자는 더테크에 “이번 서비스는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동시에 삼성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으로 보안에 대한 우려 없이 활용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브리티 코파일럿’은 단순 반복 업무만 자동화하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한계를 극복한 솔루션이다. 메일과 메신저, 영상회의, 데이터 저장 등 공통 업무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지적 업무에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서비스 출시 일정은 내년 상반기

    • 조재호 기자
    • 2023-09-12 12:20
  • 알에스오토메이션, 美 물류포장 전시회 ‘PACK EXPO’ 참가

    [더테크=전수연 기자] 로봇모션 제어 전문기업 알에스오토메이션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물류포장 전시회 PACK EXPO에 참가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 참가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주관의 수출 바우처로 계획된 프로그램이다. PACK EXPO는 미국 현지시각으로 11일부터 13일까지 열리며 비대면 무인 물류포장, AI를 이용한 첨단 물류기술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주최 측은 총 120여개국에서 2000여개 글로벌 기업이 참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알에스오토메이션은 지난해부터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글로벌 로봇공학 전시회로 꼽히는 △뉴욕 ATX East △에너하임 ATX West △시카고 Automate 2023 등에 참가해 마케팅을 하고 있다. 이번 PACK EXPO에서도 미국 현지법인을 중심으로 최근 협업 중인 서부 지역 기업들과 오프라인 미팅을 통해 파트너십 확대 활동에 나선다. 강덕현 알에스오토메이션 대표는 “지난 2020년 설립한 미국 법인을 통해 기존 파트너 외 신규 네트워크 파트너십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로봇제어 기술을 통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과 물류 시장 시너지를 적극 알릴 계획”이라

    • 전수연 기자
    • 2023-09-12 10:39
  • [영상] 솔트룩스의 새로운 모바일 AI 서비스, 손비서와 미미는?

    [더테크=조재호 기자/서용진 PD] 국내 인공지능(AI) 업계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인 솔트룩스가 지난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솔트룩스 인공지능 컨퍼런스 2023’(SAC 2023)을 개최했다. (관련기사: 솔트룩스가 그리는, AI와 접목한 일상) 솔트룩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와 관련 서비스들을 공개했다. 모바일 AI서비스인 손비서와 미미의 모습을 영상으로 살펴본다.

    • 조재호 기자, 서용진 PD
    • 2023-09-12 10:31
  • 국내 CDO 59%, AI 활용해 의사결정 자동화

    [더테크=문용필 기자] 국내 기업의 최고 데이터 책임자(Chief Data Officer, 이하 CDO) 중 절반 이상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의사결정을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평균에 비해 10%이상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CEO 69%, ‘생성형AI 광범위한 이점’…경영진 생각은?) 12일 IBM 기업가치연구소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2023 최고 데이터 책임자 연구결과: 데이터를 가치로 전환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조사에 응한 국내 CDO 중 59%가 AI를 사용해 의사결정을 자동화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글로벌 CDO의 경우에는 같은 응답을 한 비율이 38%였다. 해당 조사가 국내 CDO 75명을 포함, 전세계 30여 개국의 CDO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는 점에서 완벽하게 일반화시키기는 어려워 보이지만 적어도 국내 기업들이 AI를 의사결정에 활발하게 응용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 대목이다. 국내 CDO들은 비즈니스 혁신을 위해 활용하는 주요 기술로 AI‧머신러닝, 사물인터넷, 프로세스 및 태스크 마이닝을 꼽았다. 보고서는 동종업계 대비 데이터 전략 및 관리에 투자를 최적화하면서도 보다 큰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

    • 문용필 기자
    • 2023-09-12 09:55
  • 로크웰 오토메이션, 클리어패스 로보틱스 인수

    [더테크=전수연 기자]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업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이 자율주행로봇(AMR) 시장 확대에 따라 첨단 물류 관리 솔루션을 위한 인수합병을 진행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캐나다 산업 애플리케이션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클리어패스 로보틱스(Clearpath Robotics)를 인수했다고 12일 밝혔다. 로크웰은 부품·자재를 조립 라인과 제조 셀 사이로 운반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작업이며 이 과정에서 종종 생산 병목 현상이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로크웰은 자율 생산 물류(Autonomous production logistics)가 제조 공장 전반의 워크플로우를 혁신시켜 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클리어패스 로보틱스의 AMR, 기업 차량 관리·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는 현장 부품·부분 조립폼이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하고 완제품을 트럭이나 창고로 운반해 처리량을 늘릴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인수를 통해 로크웰은 고정식 로봇 팔(fixed robotic arms), 독립형 카트 기술(Independent Technology), PLC(Programmable Logic Cont

    • 전수연 기자
    • 2023-09-12 09:50
  • 업스테이지, 이커머스 최초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

    [더테크=조명의 기자] 업스테이지가 커넥트웨이브와 손잡고 국내 이커머스 업계 최초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축한다. 업스테이지는 지난 8일 이커머스 전문기업 커넥트웨이브와 이커머스 업계 최초로 생성형 AI 기반의 ‘프라이빗 거대언어 모델(LLM)’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오픈AI의 챗GPT 등장으로 전 세계적으로 생성형 AI 열풍이 불고 있지만, 기업 내부 데이터 유출에 대한 우려와 잘못된 정보를 생성하는 환각 현상(할루시네이션)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그 대안으로 프라이빗 LLM이 주목받고 있다. 프라이빗 LLM은 기업 내부 데이터만 학습해 정보 유출과 환각 현상을 방지하는데 특화된 솔루션이다. 업스테이지는 커넥트웨이브와 업계 최초 최초로 프라이빗 LLM 구축에 나선다. 커넥트웨이브는 자사 데이터 커머스 플랫폼인 ‘다나와’와 ‘에누리’가 한국어 기반 약 14억개의 국내 업계 최고 수준의 쇼핑상품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업스테이지의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프라이빗 LLM을 공동 개발하고 내재화한다는 계획이다. 예를 들면 다나와와 에누리를 방문하는 소비자가 커넥트웨이브의 프라이빗 LLM이 지원하는 기능을 통해 주관적이거나

    • 조명의 기자
    • 2023-09-11 16:53
  • [영상] 솔트룩스 ‘루시아’ 공개된 SAC 2023 이모저모

    [더테크=조재호 기자/서용진 PD] 국내 인공지능(AI) 업계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인 솔트룩스가 지난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솔트룩스 인공지능 컨퍼런스 2023’(SAC 2023)을 개최했다. (관련기사: 솔트룩스, 자체 LLM '루시아'로 B2B AI 공략 박차) 솔트룩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와 관련 서비스들을 공개했다.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더테크가 영상에 담았다.

    • 조재호 기자, 서용진 PD
    • 2023-09-11 16:47
  • 셀바스AI, AI 음성기록 제품 ‘셀비 노트’ 법무법인에 확대 공급

    [더테크=조명의 기자] 셀바스AI는 법무법인 등 법률 분야로 음성기록 제품 ‘셀비 노트(Selvy Note)’ 공급을 확대했다고 11일 밝혔다. 셀비 노트는 일대일 또는 다자 간 대화 내용을 자동으로 텍스트 변환해 기록‧저장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AI 음성기록 솔루션이다. 조사‧상담 시 화자를 구분해 즉시 문서를 작성하는 실시간 방식과 음성 녹음파일이 자동 텍스트화 되는 비실시간 방식 모두 지원한다. 법무법인에서 셀비 노트를 선호하는 이유는 업무 효율성 향상, 데이터 보안, 상용화 경험 등의 장점 때문이다.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해 음성파일이 빠르게 텍스트로 변환되어 변호사는 주요 키워드 중심으로 빠르게 검색‧확인하고 증거 파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연결 없이 사용 가능해 민감한 정보 및 개인정보 보안이 중요한 법률 법률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높다. 현재 법무부, 보건복지부, 경찰청, 특허청, 대형 법무법인 등 다양한 법률 분야에서 활용 되고 있다. 윤재선 셀바스AI 음성인식 사업대표는 “여러 상용화 경험을 통해 법률 분야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셀비 노트를 고도화해 나가고 있어 국내 법무법인은 물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관련 안전관리 기록 작성이

    • 조명의 기자
    • 2023-09-11 14:39
  • 로봇산업 미래‧현재 본다…‘2023 로보월드’ 개최

    [더테크=문용필 기자] 대한민국은 물론 글로벌 로봇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할 수 있는 대형 이벤트가 다음달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펼쳐진다. ‘2023 로보월드’(ROBOTWORLD 2023)가 오는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킨텍스 제1전시장 1~3홀에서 개최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주관기관인 한국로봇산업협회에 따르면 이번 로보월드는 총면적 32.157㎡에 30개국 300개사, 800여 부스 규모로 치러진다. 지난해(220개사, 701부스)보다 참가사와 부스 모두 크게 확대된 역대 최대 규모다. 특히 해외에서도 50개사가 참여한다. 제조용 로봇기업 중에서는 시스콘과 나우로보틱스, 유일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뉴로메카 등 역대 참가 기업은 물론, 한국앱손과 짐머그룹, 테크맨로봇 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신규로 이번 로보월드에 참가한다. 현대로보틱스와 로보케어, 코가로보틱스, 티라로보틱스 등 서비스용 로봇기업들도 참여해 물류이송로봇, 의료재활로봇, 안내로봇, 서빙로봇, 방역로봇 등 팬데믹 이후 시장이 확대된 다양한 로봇을 대거 선보이게 된다. 특히 올해 로보월드에 최초로

    • 문용필 기자
    • 2023-09-11 09:56
  • 기획부터 작곡까지…다채로운 ‘AI 광고’ 시대

    [더테크=전수연 기자] 챗GPT가 불러온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은 이제 다양한 방향으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경영과 업무를 디지털 혁신할 수 있는 테크툴(tool)로 주목받고 있다. IBM기업가치연구소(IBV)의 연례 CEO 스터디에 따르면 설문조사에 참여한 75%의 CEO가 ‘가장 발전된 생성형 AI를 보유한 조직이 경쟁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향후 생성형 AI가 기업 업무에 있어 필수적인 존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최일선에서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마케팅과 광고도 생성형 AI의 존재감에서 예외는 아니다. 마케팅‧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X) 전문가인 김형택 디지털이니셔티브그룹 대표는 “국내의 경우 SPC, GS리테일 등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상품 기획을 하고 있다”며 “새로운 시각, 아이디어 등을 선보이고 빠른 기획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들은 톡톡튀는 기획으로 테크에 익숙한 Z세대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국내 대표적인 사례는 LG유플러스가 선보인 ‘20대 가입자 전용 요금제’ 광고다. 시나리오부터 이미지, 음성에 이르기까지 AI기술을 활용해 제작됐다.

    • 전수연 기자
    • 2023-09-11 08:56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 배너

배너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1

    슈나이더 일렉트릭, 엔비디아와 대규모 AI 공장 개발

  • 2

    KQC, 하이엔드 고성능 AI 데이터센터 구축... "AI 시장 본격 진출"

  • 3

    “AI 중심 보안 운영 모델 전환, 향후 36개월이 승부처”

  • 4

    네이버, 최상의 언어 능력 갖춘 추론모델 ‘HyperCLOVA X THINK’ 공개

  • 5

    캔바, 오픈AI 챗GPT와 연동된 첫 디자인 플랫폼 등극

  • 6

    셀렉트스타, 국내 최초 AI 신뢰성 검증 솔루션 ‘다투모 이밸’ 도입

  • 7

    한화 협동로봇, ‘클린룸 클래스1’ 인증 획득..."세계 최초"


  • 배너
  • 배너

  • 회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이지영)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의견·제보
  • 고객센터
로고

(주)빅테크 | 제호 : 더테크 (THE TECH) | 신문등록번호: 서울아53318 | 등록ㆍ발행일자: 2020.10.7 | 사업자번호 : 168-86-01987
발행ㆍ편집인 : 서명수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이지영 | 청소년보호 책임자 : 이지영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62-10, 4층 (서교동, 이혜2 빌딩) | 전화번호: 02-6952-6992 | 기사제보 : press@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HE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07월 07일 13시 46분

최상단으로
검색창 닫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닫기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