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전동화 부품 소재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대학들과 공동연구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1일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영구 자석 기술 경쟁력 향상을 위해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현대자동차그룹 자성재료 공동연구실’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실은 전동화 시대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 소재를 대체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다. 전동화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EV 모터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되는 네오디뮴 영구자석과 같은 희토류 수요도 증가하는데 생산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희토류 수출입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기존 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성소재 기술과 부품을 회수해 재활용할 수 있는 재순환 기술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자원 수급 리스크에 대응하고 전기차 소재 기술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내 주요 대학들과 자성재료 기술 내재화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그룹은 △연세대 △서울대 △성균관대 △부산대 △부경대 △충남대 △충북대 등 7개의 대학 및 산학협력 전문기관인 현대엔지비와 함께 총 3년간 공동연구실을 운영하며 연구활동을 지원한다. 공동연구실은 △비희토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와 현대차그룹이 미래 자율주행 환경을 대비한 차세대 라이다 센서 개발과 함께 선행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한다. 카이스트가 21일 ‘현대차그룹-카이스트 온칩 라이다(On-Chip LiDAR) 개발 공동연구실’을 대전 본원에 개소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실은 자율주행 시장에서 완전자율주행을 일컫는 4~5단계를 위한 라이다 센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주력한다. 광반도체인 실리콘 포토닉스를 활용해 센서의 크기를 줄이면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온칩 센서 제작 기술과 함께 차세대 신호검출 방식을 도입할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김상현, 김상식, 정완영, 함자 쿠르트(Hamza Kurt) 교수 등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팀과 현대차그룹 선행기술원 연구팀 등 약 30여명 규모로 구성된 공동연구실은 2028년까지 4년간 운영될 예정이다. 김상현 공동연구실 책임교수는 “자동차의 눈인 라이다 센서는 향후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이자 완성차 업계에서도 기술 내재화가 필수적인 기술”이라며 “공동연구실 설립으로 관련 기술을 선도하는 기술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카이스트는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소형 온칩 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