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인공지능(AI) 서비스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교육 현장 연계를 본격화하면서 생성형 AI 대중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뤼튼은 최근 생성형 AI로 수업 혁신을 선도하는 ‘뤼튼 AI 시범학교’와 ‘선도교사단’을 전국적으로 모집하고 운영에 나섰다. AI 리터리시(이해도) 교육과 활용 활성화를 위한 AI 시범학교는 생성형 AI로 수업 혁신을 선도하고 새로운 교육 모델을 구축해 확산하는 학교다. 일선 교사들로 구성된 ‘선도교사단’은 △교육 현장의 AI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AI를 활용한 직무 연수 프로그램 주관 및 수업 활용 연구 △AI 활용 교육 사례 발굴 및 효과 검토, 자문 등의 역할을 맡는다. 이번 뤼튼 AI 시범학교에는 경남 오봉초와 김포 풍무초 등 6개의 초등학교, 의정부 호원중 등 2개 중학교, 대전대신고와 평택고 등 5개 고교 등 13개교가 지정됐다. 선도교사단은 전국 초·중·고교 교사 145명을 선정했다. 대학가에서도 뤼튼의 생성형 AI 활용 경험을 전파하고 있는데 지난 1월 연세대 총학생회를 시작으로 5월까지 전국 총 32개 대학교 총학생회와 생성형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
[더테크=이지영 기자] 뤼튼이 만든 AI 친척과 대화하면서 명절 분위기를 내고 세뱃돈까지 받을 수 있는 이색 이벤트가 열렸다. 뤼튼테크놀로지스는 ‘가상 친척’과 AI 대화를 통해 세뱃돈을 받는 설날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뤼튼 모바일 앱에서 외할머니, 삼촌, 조카 등 AI 챗봇을 선택해 명절 대화를 나누는 방식이다. 각각의 AI 챗봇들은 이용자를 응원하거나 음식을 권하고 질문을 하는 등 설날의 다양한 상황에 맞춰 대화를 진행한다. AI 챗봇과 대화를 원만히 진행하면 복주머니 선물을 받을 수 있는데, 복주머니에서 랜덤으로 현금과 네이버페이 포인트 등의 세뱃돈을 받을 수 있다. 뤼튼 이동재 CSO는 “가상 친척 AI와 명절 대화를 나눈 건 실제에선 못 느낄 색다른 경험”이라며 “이번 이벤트로 세뱃돈도 받고 즐거운 설 명절을 맞이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AI포털 서비스 기업 뤼튼이 자사 서비스에 구글의 최신 언어 모델을 추가했다. 지난 3월 '뤼튼 2.0' 발표에 이은 추가 업데이트로 이용자들의 언어 모델 선택 폭을 넓혔다. 뤼튼은 구글이 개발한 팜2(PaLM2) 비영어권 언어 모델을 자사 서비스에 추가 탑재했다고 4일 밝혔다. 팜2는 구글이 지난 5월 공개한 LLM(Large Language Models, 거대 언어 모델)이다. 구글이 챗GPT의 대항마로 내놓은 바드(Bard)도 팜2를 기반으로 한다. 팜2는 100개 이상의 다국어 텍스트를 학습해 다양한 언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이해하고 생성, 번역할 수 있다. 앞서 뤼튼에는 오픈AI가 개발한 GPT4, GPT3.5, GPT3.5 16K와 스태빌리티AI의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등 여러 생성형 AI 언어 모델이 탑재된 바 있다. 앞으로는 구글의 팜2 언어 모델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 실제 뤼튼 채팅창을 살펴보면 이용자의 질문에 답변할 언어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뤼튼의 설명에 따르면 팜2는 ‘빠르고 가독성이 높다’고 GPT4의 경우 ‘똑똑하다’, GPT3.5는 ‘빠르다’, GPT 3.5 16k는 '길게
[더테크=전수연 기자] 국내 생성 인공지능(AI) 분야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가 스타트업 업계 불황에도 꾸준한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다. 뤼튼은 15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지난해 11월 38억원 규모의 프리-A 시리즈 유치에 뒤이은 것이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캡스톤파트너스가 리드 투자자로 나섰으며, 신규 투자사는 KDB 산업은행, Z벤처 캐피탈, 우리벤처파트너스, 하나은행, 하나증권 등이다. 이 가운데 Z벤처캐피탈(ZVC)은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 라인과 야후재팬 등을 자회사로 둔 일본 기업 Z홀딩스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이다. ZVC의 투자 참여로 지난 4월부터 진행 중인 뤼튼의 일본 현지 AI 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뤼튼은 일본에서 생성 AI 기술 기반 채팅 플랫폼과 모바일 메신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뤼튼은 GPT-4와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자체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AI 포털 서비스 ‘뤼튼(Wrtn) 2.0’을 운영한다. 뤼튼 2.0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AI 플러그인 플랫폼을 구현하며, 외부 서비스를 연계해 이용할 수 있다. 앞서 뤼튼은 지난 5월